한국, 홍콩 관련 금융리스크 확대, 자금조달비용 증가 가능성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중국의 홍콩보안법 통과에 따른 미국의 홍콩 특별지위 박탈에 따라, 한국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적지만,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가 우려된다.

   
▲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부 장관. 미국은 중국의 홍콩보안법 제정에 강력 반발했다. [사진=미 국무부 홈페이지]


홍콩 내 자본유출 가능성 등으로 단기적으로 변동성이 커지고, 중.장기적으로 홍콩의 '금융 허브' 입지도 흔들릴 수 있다.

한국 입장에서도 단기적으로 은행들의 홍콩 익스포저, 증권사의 '홍콩H지수' 관련 주가연계증권(ELS) 등의 리스크가 대두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위안화 자금조달 루트 축소 등으로 인한 자금조달 비용 증가 우려도 나올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박인금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홍콩특별권 지위 박탈에 따른 직접적 영향은 제한적이나, 주식시장에서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추가 제재 및 중국의 보복 제재 등에 따른 미중 갈등에 따른 불확실성을 반영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박 연구원은 "특히 미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늘어나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책임론' 선거전략은 더 강화될 것"이라며 "중국에 대한 규제 정책들이 추가적으로 나올 것"이라고 예상했다.

미국 블룸버그 통신은 미국의 홍콩 관련 중국 제재가 은행권의 미 달러화 자금 조달난으로 연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경제와 관련, 이상재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부분 규제에 나선 미국 정부의 추가 규제와 이에 대한 중국의 반발이 '무역합의 파기' 등으로 확산될지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또 "중국의 홍콩 우회 대미수출보다 홍콩을 통한 중국의 외자조달 차질 가능성이 문제"라며 "경기회복 기대보다 홍콩 관련 불안이 우위"라고 덧붙였다.

다만 주식시장 등에 당장 미칠 충격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박수현 KB증권 연구원은 "시장은 미중 간의 관계가 예전처럼 되돌리기 어렵다는 사실을 이미 인지하고 있고, 미국이 강경 대응을 시사하지만 실제 조치는 '국지적인 수준'에 머물 것"이라며 "관세와 같이 경제와 기업이익에 영향을 주는 직접적 이벤트가 재개되지 않는 한, 지난해 같은 주가급락세 가능성은 낮다"고 내다봤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