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개월간 권한대행 체제…'부동산규제 해제' 압박이 첫 관문
   
▲ 13일 오전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열린 박원순 서울특별시장 영결식에서 공동장례위원장인 서정협 시장권한대행이 조사를 밝히고 있다./사진=서울시
[미디어펜=김규태 기자] 박원순 서울시장이 없는 서울시, 남은 과제는 뭐가 있을까. 박원순 시장이 예기치 못하게 세상을 떠나면서 서울시는 내년 4월 재보궐 선거까지 9개월간 서정협 시장권한대행 체제가 가동된다.

2011년 보궐선거에 당선된 후 지난 9년간 시정을 이끌어온 박 시장의 공백 속에 청년수당·제로페이 등 일명 '박원순표 정책'의 향방이 주목된다.

전체적으로는 기존 정책기조를 유지하면서 '그린벨트 해제' 등 일부 부동산정책에 대한 중앙정부측 압박이 변수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지난 10일 시장권한대행을 맡은 서정협 행정1부시장은 "서울시정은 안정과 복지를 최우선으로 하는 박 전 시장의 시정철학에 따라 중단 없이 굳건히 계속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 권한대행(행정고시 35회)은 시 행정과장·정책기획관·시장 비서실장·시민소통기획관·문화본부장·기획조정실장 등 요직을 두루 거친 정책전문가다.

시정 견제기관인 서울시의회의 경우, 김인호 시의회 의장은 이날 "공백없는 서울시정을 위해 온 힘을 다해 협력하겠다"고 언급해 시정기조 유지에 파란 불을 밝혔다.

변수는 중앙정부 당정 차원에서 수도권 주택공급을 위한 재건축 규제 및 그린벨트에 대해 해제하라는 압박이다.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원내대표는 완강히 '반대' 입장을 밝혔던 박 시장을 향해 지난 9일 "지자체는 획기적 공급대책 수립을 위해 중앙정부에 협조해줄 것을 촉구한다. 주택공급을 위해선 지방정부 협조가 필수적"이라며 압박했고, 이해찬 당 대표는 하루 전인 8일 박 시장과의 비공식면담에서 '그린벨트를 풀어달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두번째 변수는 박 시장이 대선 공약으로 내세우려던 '전 국민 고용보험'과 2조 6000억 원을 투입하는 '서울판 그린뉴딜' 등 새로운 추진정책이다.

   
▲ 서울광장 분향소에 설치된 고 박원순 서울시장 영정이 조문객들을 맞이하고 있다./사진=서울시
익명을 요구한 시 관계자는 13일 미디어펜과의 인터뷰에서 "청년수당과 제로페이 등 이미 자리를 잡은 정책들은 당분간 문제없겠지만 향후 계획으로 설정한 광화문 재구조화 및 그린뉴딜의 경우 추진동력을 제대로 확보할지 미지수"라고 내부 분위기를 전했다.

그는 "박 시장은 직접 세부사항까지 챙겨와 그 빈자리가 크다"며 "브레인 역할을 하면서 손발로 뛰어온 비서실장과 특보단 등 지방별정직 간부들이 대거 당연퇴직 발령을 받아 손 쓸수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금껏 시정에 힘썼지만 이번 일로 대거 면직 처리된 이들은 고한석 비서실장과 장훈 소통전략실장, 최병천 민생정책보좌관, 조경민 기획보좌관, 황종섭 정책비서관, 최택용 정무수석 등 27명에 달한다.

다만 지난달 19일 최 수석과 함께 내정된 김우영 정무부시장은 임명직 공무원으로, 박 시장 영입인사 중 유일하게 권한대행 체제에서 자리를 지킨다.

그는 이날 "큰 예산이 들어가는 서울판 그린뉴딜은 완전히 멈추게 될 것으로 보인다"며 "이뿐 아니라 시공무원 대다수가 반대했지만 별정직 간부들 주도로 추진해온 국립중앙의료원 이전 및 대한항공의 '경복궁 옆 송현동 터' 공원화 정책도 사실상 끝났다"고 평가했다.

이해찬 대표는 13일 시청 다목적홀에서 열린 영결식에서 "(박 시장이) 그토록 애정을 쏟았던 서울시정이 훼손되지 않도록 잘 챙기도록 옆에서 돕겠다"고 밝혔다. 향후 당정과 시청이 9개월 남은 권한대행 체제에서 어떻게 정책들을 협력해 추진할지 관심이 쏠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