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세 이상 제외 모든 연령층서 취업자 감소·고용률 하락
   
▲ 여성구직자 [사진=미디어펜]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고용시장 충격이 계속되면서, 6월 취업자 수가 네달째 감소했다.

실업자와 실업률이 통계 작성을 시작한 지난 1999년 이후 역대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다.

15일 통계청의 '6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705만 5000명으로, 1년 전보다 35만 2000명 감소했다.

지난 3월(-19만 5000명), 4월(-47만 6000명), 5월(-39만 2000명)에 이어 4개월 연속 감소로, 넉달 연속 취업자 수 감소는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있었던 2009년 10월∼2010년 1월 이후 약 10년 만이다.

업종별로 보면 숙박·음식점업(-18만 6000명), 도·소매업(-17만 6000명), 교육서비스업(-8만 9000명), 제조업(-6만 5000명) 등에서 많이 줄었다.

반면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16만 4000명), 농림어업(5만 2000명), 운수·창고업(5만명) 등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 산업에 코로나19 영향이 미쳤으며, 가장 두드러진 것은 대면서비스업이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33만 8000명)만 취업자 수가 증가하고 30대(-19만 5000명), 40대(-18만명), 20대(-15만 1000명), 50대(-14만 6000명)에서 모두 줄었는데, 특히 15∼29세 청년층 취업자가 17만명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임시근로자(-40만 8000명), 일용근로자(-8만 6000명)는 감소한 반면, 상용근로자(34만 9000명)는 늘었다.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가 17만 3000명, 무급가족종사자는 5만 3000명 각각 줄었지만,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1만 8000명 증가했다.

통계상 취업자인 '일시휴직자'는 1년 전보다 36만명(97.7%) 늘어난 72만 9000명이었다.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코로나19 영향으로 대면서비스 쪽에서 고용 상황이 안 좋아져, 일시휴직자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0.4%로 전년 동월 대비 1.2%포인트 하락, 같은 달 기준으로 2010년 6월(60.0%) 이후 10년 만에 최저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5.9%로 1년 전보다 1.3%포인트 하락, 같은 달 기준 2014년 6월(65.9%) 이후 최저치였다.

특히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1.2%포인트 내린 42.0%를 기록했는데, 20대(-2.5%포인트)와 30대(-1.1%포인트), 40대(-1.6%포인트), 50대(-1.7%포인트) 모두 하락했다.

반면 60세 이상(0.6%포인트)만 상승했는데, 코로나19 영향으로 중단됐던 노인 일자리 사업이 재개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경제활동인구는 2828만 3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26만 2000명 줄어, 4개월 연속 감소했다.

경제활동참가율은 1년 전보다 1.0%포인트 하락한 63.2%로, 6월 기준 2013년(62.7%) 이후 최저치였고, 비경제활동인구는 작년 동월보다 54만 2000명 늘어난 1649만 2000명으로 조사됐다.

특히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쉬었음'으로 분류된 사람은 229만 6000명으로 1년 전보다 28만 9000명 늘어, 2003년 통계 작성 이후 6월 기준 최대치였고, 구직단념자는 53만 8000명으로 1년 전보다 2만 4000명 증가했다.

실업자 수는 9만 1000명 늘어난 122만 8000명, 실업률은 0.3%포인트 오른 4.3%로, 실업자와 실업률 모두 같은 달 기준으로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99년 이후 최고치다.

청년층 실업률은 10.7%로, 역시 6월 기준 1999년(11.3%) 이후 최고였다.

체감실업률을 보여주는 고용보조지표3(확장실업률)은 1년 전보다 2.0%포인트 오른 13.9%로, 6월 기준 2015년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였고, 청년층 확장실업률은 2.2%포인트 높아진 26.8%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