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전체 인구의 5.1%…청소·교통수단 이용 때 도움 필요
   
▲ 통계청 로고 [사진=통계청]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우리나라 장애인 취업률이 35%로 전체 인구 취업률의 절반 수준이며, 장애인 가구의 소득은 4153만원으로 전체 가구소득의 70% 정도에 그쳤다.

보건복지부와 통계청은 이런 내용의 장애인 관련 통계를 종합한 '2020 통계로 보는 장애인의 삶'을 24일 발표했다.

이 통계를 보면 지난 2018년 장애인 수는 251만 7000명으로 전체 인구의 5% 수준이었고, 이 중 58.3%는 60대 이상으로 고령자 비율이 비장애인(19.7%)의 약 3배 수준이었다.

장애인 수는 지난해 말에는 261만 8000명으로 늘었는데,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5.1%로 전년과 비슷했다.

2018년 기준 장애인 가구 유형은 2인 가구가 34.9%로 가장 많았고, 3인 가구 22.1%, 1인 가구 19.8% 순으로 나타났는데, 비장애인 가구는 1인 가구가 30.4%로 최대였고, 2인 가구 26.3%, 3인 가구 20.9% 순이었다.

장애인 취업률은 34.9%로 전체 인구 취업률 60.7%의 절반 정도였으며, 40대의 취업률이 58.4%로 가장 높고, 30대(53.4%), 50대(53.2%), 30세 미만(30.6%) 순으로 뒤를 이었다.

연령별 일자리 비중은 60세 이상(37.3%), 50대(30.3%), 40대(18.4%) 순으로 높았는데, 고령자가 많은 장애인 인구 구조의 특성 때문으로 보인다.     

장애인 가구의 평균소득은 4153만원으로 전체 가구 평균소득 5828만원의 71.3%였고, 전년 대비 소득 증가율도 장애인 가구는 0.1%로, 전체 가구 2.2%와 차이가 컸다.

장애인 가구의 소비지출은 전년 대비 2.7% 늘어난 2022만원으로, 전체 가구(2692만원)의 75.1% 정도다.

장애인은 병원에서 치료를 받는 기간이 길고, 사망률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7년 중 병원에 입원하거나 진료를 받은 날은 장애인이 56.5일로, 전체인구(21.6일)의 두배를 넘었다.

장애인의 사망률도 3.6∼7.3배 높게 집계됐다.

일상생활 중 도움이 필요한 분야는 청소(37.7%), 교통수단 이용(37.3%), 식사 준비(36.4%), 빨래하기(36.3%) 순이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