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넷 통한 '사모펀드 제도개선' 지원사업 추진"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최근 ‘옵티머스펀드 사태’로 사모펀드 관리상의 허점을 드러낸 한국예탁결제원이 점검 시스템을 내년 초까지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예탁원의 관리 대상을 공모펀드에서 사모펀드로까지 확대시켜, 라임‧옵티머스 사태의 재발을 막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국예탁결제원이 펀드넷(FundNet)을 통한 사모펀드 제도개선 지원사업 추진을 검토 중이라고 지난 3일 밝혔다. 펀드넷은 자산운용사·수탁사·판매사 등 펀드 관련 금융회사가 펀드의 설정·환매·결제·운용지시 등의 업무를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온라인 플랫폼을 뜻한다. 

   
▲ 사진=한국예탁결제원


한국예탁결제원이 지난 2004년 구축한 펀드넷은 현재 500개 이상의 금융기관이 이용 중이다. 연간 처리 건수는 8억건에 달하는 대형 플랫폼이기도 하다. 

예탁결제원은 이번에 이 시스템의 관리 대상을 공모펀드에서 사모펀드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일단 예탁결제원은 시장참가자 간 펀드 자산정보를 상호 확인할 수 있는 펀드자산 잔고대사 지원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 시스템을 통해 자산운용사(사무관리회사)와 수탁사가 전송한 펀드 투자자산내역(자산명, 자산코드, 잔고 등 정보 포함)을 비교·검증함으로써 안정적인 잔고대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아울러 예탁결제원은 펀드 잔고대사 지원시스템의 성공적인 구현을 위해 시장참가자별로 자체 생성·관리하고 있는 비시장성 자산 코드를 표준화해야 된다고 판단, 내년 상반기 오픈을 목표로 표준코드 관리시스템을 선제적으로 구축하기로 했다.

이번 시스템이 구축되면 사모펀드가 주로 투자하는 비시장성자산에 대한 운용지시 지원서비스와 해당 거래내역에 대한 상시감시 지원서비스 등도 제공될 것으로 보인다. 시장참가자 간 전화·팩스·이메일 등 수작업으로 처리하는 업무를 시스템으로 처리하게 되면, 업무처리 안정성과 효율성도 대폭 제고될 것으로 기대된다.

예탁결제원의 이번 움직임은 다분히 라임‧옵티머스 사태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예탁원은 옵티머스자산운용 측이 허위로 제출한 등록 자산 변경 서류를 검증 없이 그대로 처리해 사태를 키웠다는 비판을 여러 차례 받았다.

예탁결제원이 수탁회사인 하나은행을 통해 실제 편입자산 명세를 단 1번이라도 확인했다면 옵티머스의 사기 행각을 사전에 적발할 수 있었다는 지적도 있었다. 대표적으로 성일종 미래통합당 의원은 최근 “예탁결제원이 운용사에서 주는 대로 계산만 대행한다면 (기관을) 없애야 한다. 수수료를 받으면 책임을 져야 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러한 비판에 대해 예탁결제원은 ‘옵티머스와 맺은 위임 계약상 펀드 자산의 검증 의무는 없다’는 해명을 내놨다. 옵티머스로부터 위임받은 업무는 단순 회계 처리와 펀드 재산의 기준가격산정 업무 등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번에 예탁결제원이 사모펀드와 관련된 제도개선에 나선 것에는 향후 추가적으로 제기될 수 있는 비판에 사전적으로 대응한다는 의미가 깔려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현재 금융당국이 옵티머스 사태와 관련해 예탁결제원의 책임을 살펴보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비슷한 사태의 재발을 막기 위한 시스템 구축에 (예탁결제원이) 미리 나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원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