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도한 통화완화 시 환율급등, 자본유출, 인플레 압력 고조 등 우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세계적 유행(팬데믹) 이후, 신흥국 중앙은행들도 역대 최저 수준으로의 정책금리 인하, 전례 없는 양적완화 등으로 대응했다.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신흥국 중 14개국의 정책금리가 사상 최저수준으로 하락했고 폴란드와 이스라엘(0.1%), 체코와 페루(0.25%), 칠레와 태국(0.5%)은 제로금리 수준에 근접했다.

또 3월말부터 폴란드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4.5%, 인도네시아는 GDP의 2.8% 규모의 양적완화로 국채 등 자산을 매입했는데, 이들은 선진국과 달리 금융시장 안정이 주목적이었다.

3~4월 중 급격한 외국인 자본유출 상황에서 중앙은행의 채권 직매입 등 과감한 개입으로, 단기적으로 국채 수익률이 하락하고 재정부담 완화 등에 기여했다.

하지만 이런 비전통적 통화정책을 기축통화국이 아닌 신흥국이 과도하게 지속할 경우, 환율 급등과 자본유출 압력이 증대될 우려가 있다.

비거주자의 국채 보유 비중이 높은 페루(52%), 러시아(35%), 남아프리카공화국(34%), 인도네시아(33%) 등은 매도세가 지속될 경우 국내 금리에 역으로 상승 압력이 가해질 가능성도 있다.

또 유동성 공급을 크게 늘린 상태에서 신속한 통화정책 기조 전환이 늦어질 경우, 신흥국 경제의 최대 위험요인 중 하나인 물가 불안이 심화될 소지도 높다.

특히 터키와 인도는 수요 부진과 높은 물가상승 압력으로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이 우려된다.

아울러 확대재정을 위한 통화정책의 '보조적 역할'이 지속될 경우, 일부 신흥국은 중앙은행 독립성 훼손과 신뢰성 저하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인도네시아의 경우 중앙은행이 발행시장에서 직접 국채를 매입(25% 한도)하고 있으나 유통시장에서는 매입한도가 없어 '부채의 화폐화' 우려(국제금융센터)도 나온다.

박미정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아직까지는 신흥국의 양적완화 규모가 크지 않고 인플레이션도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어 크게 우려되지 않는 상황이나, 경기부진이 장기화하고 과도한 양적완화를 시행할 경우, 스태그플레이션 및 금융불안 등의 우려가 커질 소지가 크다"고 지적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