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금융그룹, 정부 뉴딜정책 수십조 지원…대출 연장 등 각종 정책 동원 부담↑
[미디어펜=이동은 기자] 은행권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으로 대출 만기 연장·이자 상환 유예 조치가 연장된 가운데 ‘한국판 뉴딜정책’에까지 동원되면서 이중고를 겪고 있다. 정부가 금융사를 각종 정책에 활용하면서 금융사의 부담이 높아지고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오른쪽)과 은성수 금융위원장(왼쪽)이 3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한국판 뉴딜 전략회의 관련 내용을 발표하고 있다./사진=금융위원회


7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사들이 정부의 뉴딜정책에 맞춰 수십조원이 넘는 지원 계획을 마련했다.

신한금융은 신한네오(N.E.O) 프로젝트를 통해 향후 5년간 85조원 규모의 자금을 투입한다. 밴처캐피탈 출자를 통해 신성장 생태계에 자금을 공급하고, 정부의 스마트도시 조성 사업을 지원한다. 

KB금융은 ‘KB뉴딜·혁신금융협의회’를 기반으로 기존 혁신금융 지원금 66조원에 그린 스마트 스쿨, 국민안전 SOC 디지털화 등 9조원을 추가해 총 75조원을 지원한다.

하나금융은 기존 혁신금융지원 50조원과 디지털·그린 뉴딜 부문 10조원 등 총 60조원의 금융지원에 나서며, 우리금융도 향후 5년간 총 10조원의 자금 지원을 통해 한국판 뉴딜에 적극 동참한다. 농협금융은 스타트업 육성 등 디지털 뉴딜 분야와 친환경 스마트팜 대출 확대 등 그린 뉴딜 분야에 13조8000억원을 지원한다.

여기에 정부는 향후 5년간 정부 3조원, 정책금융기관 4조원에 금융회사 등 민간 자본 13조원을 매칭해 20조원 규모의 뉴딜펀드를 출범시킬 예정이다. 금융권에서는 뉴딜 펀드에도 은행권의 참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처럼 정부의 각종 정책에 금융사들의 참여가 요구되면서 금융사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앞서 금융권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대출 연장 조치를 6개월 더 연장키도 했다. 금융당국은 지난 3월 코로나19 사태가 악화되자 ‘대출 원금상환 만기 연장 및 이자상환 유예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6개월 간 대출 만기를 연장하고 이자 상환을 유예했다. 

하지만 코로나19가 재확산하면서 연장 조치를 내년 3월까지 추가로 연장한 것이다. 이에 따라 피해를 입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은 내년 3월 전에 만기가 도래하는 대출에 대해 또 한번 최소 6개월간 원금 상환 만기 연장과 이자 유예를 신청할 수 있다. 

지난달 14일 기준 전체 금융권에선 약 75조7749억원(24만6011건)에 대한 대출 만기연장, 1075억원(9382건)에 대한 이자상환 유예가 이뤄졌다. 이 가운데 시중은행은 만기연장 51조3180억원(17만8168건), 이자상환 유예 391억원(3480건)에 달한다.

이에 은행들의 부실 위험이 커지고 건전성 관리가 어려워질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정부로서는 실물경제의 위축을 막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겠지만 은행 입장에서는 리스크 관리가 더욱 어려워질 수 있고, 금융지원 종료시의 부실화 또한 집중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며 “금융지원이 조금 더 연장된다면 당장 올해 은행들의 대손부담은 기존 예상보다 더 적어질 수 있지만 결국에는 충당금 부담이 내년 이후 더 크게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미디어펜=이동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