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주 자리 빼앗긴 금호건설…무리한 M&A로 유동성 타격
30년간 주택사업 고집하며 한 길 걸어온 호반건설 '우뚝'
[미디어펜=이다빈 기자]금호건설과 호반건설은 전남 광주에서 시작한 호남지역 대표건설사라는 공통점을 가진다. 하지만 일련의 성쇠를 겪으며 희비가 엇갈려 눈길을 끌고 있다.

금호건설은 무리한 인수·합병(M&A)으로 재무구조를 악화시키며 성장의 기회를 놓친 반면, 호반건설은 설립 이후 30년간 주택사업에 집중하며 굴지의 건설사로 도약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시공능력평가에서 금호건설은 23위, 호반건설은 12위를 기록했다.

호남의 기존 맹주는 금호건설이었다. 2005년 시공능력평가에서 금호건설은 9위를 기록하며 대형건설사 반열에 합류했고, 호반건설은 114위에 그쳤다. 불과 15년 만에 상황이 역전되며 금호건설은 맹주 자리를 호반건설에 내어준 것이다.

   
▲ 금호건설과 호반건설 CI./사진=금호건설, 호반건설

◆금호건설, 투트랙 경영 전략 '실패'…호반건설, 주택사업 고집해 '성공'

금호산업은 '고속사업부'와 '건설사업부' 투트랙 운영 전략을 펼쳤다.

금호산업의 고속사업부는 1946년 금호아시아나그룹의 모태인 광주택시로 출발해 1948년 버스운송업체인 광주여객자동차로 법인 전환됐다. 이후 운송업 부문에서의 타이어 제조 및 공급을 위해 삼양타이어공업을 출범하고 사업을 점차 확대해 1972년 광주고속으로 사명을 변경하는 등 성장세를 이어갔다.

금호산업의 건설사업부는 1967년 제일토목건축 주식회사로 출발했다. 1999년 금호산업으로 상호를 변경하고 사업구조를 재편해 토목, 건축, 공항시설, 물류시설, SOC사업 등 건설 전 분야에서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건설업‧운송업 투트랙 운영 전략은 초기 운송업이 두각을 보이며 그룹의 성장을 이끌었다. 하지만 그룹의 재무구조 개선 및 구조조정 등을 위해 2003년 타이어사업부를 금호타이어로, 2006년 고속터미널사업부를 금호터미널로, 2011년 고속사업부를 금호고속으로 분사시켰다. 여기에 아시아나항공까지 코로나19 여파의 직격탄을 맞고 매각 결렬에 이르며 운송업은 금호건설의 아픈 손가락으로 전락했다.

투트랙 운영 특성상 한 부문에서 손실이 발생하기 시작하면서 다른 부문의 자금조달도 힘들어지고 대외적인 신용도까지 떨어지며 신규 사업에 뛰어들기도 부담스러웠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금호건설 관계자는 "운송업은 과거에 금호산업에서 건설업과 분리돼 현재 금호고속은 금호건설과 전혀 다른 회사"라며 "금호고속의 내부 사정은 알 수 없다"고 말했다.

1989년 설립된 호반건설은 정통 건설업의 길을 밟으며 주택사업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전남 광주 삼각동 일대 148가구의 임대주택을 시작으로 주택사업에 시작해 광주, 호남을 기반으로 임대주택 사업에서의 성공을 이어갔다. 

이후 주택 분양 사업에 뛰어든 호반건설은 2000년대부터 천안, 대전, 울산, 전주 등 전국으로 '호반 써밋'과 '호반 베르디움' 단지를 공급하며 주택사업을 확장했다. 현 시점까지 설립 이후 전국에 13만 가구 이상의 주택을 공급하는 등 꾸준히 주택사업에만 전력하며 시공능력을 인정 받았다.

호반건설 관계자는 "주택분야에서 꾸준한 리스크 관리를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등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금호건설의 재무건전성 악화의 원인으로 꼽히는 대표적인 요인은 M&A 시장에서의 잇단 실패다. 특히 2006년 대우건설 인수는 무리한 M&A의 대명사격으로 언급되고 있다.

6조원 규모의 인수금액으로 대우건설을 매수한 금호아시아나그룹은 대우건설의 해외사업장 부실 등으로 그룹 재무구조 손해 끝에 결국 2010년 대우건설을 다시 재매각했다. 대우건설 인수에 따른 부채를 해소하지 못한 상태에서 2008년 4조원 이상의 금액으로 대한통운까지 인수하며 금호아시아나그룹의 유동성은 더욱 악화됐다.

그룹 유동성 위기에 자회사 금호타이어도 실적 악화가 겹치며 워크아웃에 들어갔다. 박삼구 전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은 2016년부터 금호타이어 매각을 꾀했지만 이 또한 노조와 갈등을 겪으며 2년간의 답보 상태를 이어갔다.

업계에서는 금호건설이 M&A 시장에서 번번히 시련을 겪은 것은 매물 가치를 판단하지 못한 채로 가격 조정에 실패한 것이 주된 원인 보고 있다.

금호건설 관계자는 "회사 내부에서 판단하고 있는 M&A 실패 원인에 대해서는 할 말이 없다"고 일축했다.

호반건설 역시 금호건설과 마찬가지로 대우건설의 인수전에 뛰어든 경험이 있다. 2017년 11월 대우건설 예비입찰에 참여한 호반건설은 우선협상대상자 지위까지 오르기도 했지만 김상열 호반그룹 회장은 2018년 인수를 포기한다는 결정을 내렸다.

대우건설의 해외 사업 손실 리스크 등을 감안한 조치였다. 선구안 있는 총수 결단력으로 금호건설과 비슷한 실수를 피할 수 있었다. 금호건설의 경영진과 차이를 보이는 대목이다.

아울러 호반건설은 종합디벨로퍼그룹으로 도약을 위한 M&A를 시행했다. 특히 호반건설은 종합레저(골프·리조트) 우량 기업들을 인수함으로써 내실을 다지고 사업 영역을 넓혔다.

호반건설은 2001년 스카이밸리CC를 시작으로 2010년 하와이 와이켈레CC를 인수하는 등 레저 사업에서 기반을 공고히 하고 있다. 아울러 김상열 호반건설 회장은 2017년 제주도 중문 관광단지 내 퍼시픽랜드를 인수하고 2018년 리솜 리조트, 2019년 덕평CC, 서서울CC를 잇따라 인수했다.

호반건설 관계자는 "건설업계 상황이 어렵다는 이유로 급하게 진행하는 M&A를 지양한다"며 "시장 상황과 다양한 변수를 감안해 M&A를 계획하고 추진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이다빈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