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전선언 협의 가능성 분석 나와
이도훈 “최근 대화 중 가장 좋아"
[미디어펜=김소정 기자]방미 중인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을 만난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부장관이 28일(현지시간) “한반도에서 외교 증진을 계속할 건설적 방안들을 논의했다”며 “‘창의적 아이디어’들이 거론됐다”고 밝혔다.

특히 비건 부장관은 “한미끼리 할 수 없고, 북한의 관여가 필요하다”고 말해 최근 문재인 대통령이 유엔총회에서 언급한 종전선언을 말한 것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비건 부장관은 이날 워싱턴DC 국무부 청사에서 이 본부장과 협의한 뒤 함께 취재진을 만나 “훌륭한 만남을 가졌고 한반도 및 한미관계와 관련한 여러 이슈를 논의했다”면서 “서해에서 있었던 (한국) 공무원의 비극적 피살도 물론 논의했다. 한국 국민, 그리고 분명히 미국에 깊이 충격적인 사건이다. 하지만 우리는 한반도에서 외교 증진을 계속할 건설적 방안들도 또한 논의했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과 한국은 외교에 대한 전념을 계속하고 있다”면서 이는 한반도에 항구적 평화를 달성하고, 비핵화를 성취하고, 모든 한국인에 밝은 미래를 가져오고 북미관계 정상화를 가져오기 위한 것이라고 부연했다.

   
▲ 이도훈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오른쪽)과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부장관 겸 대북특별대표./연합뉴스

그러면서 “오늘 우리가 논의한 창의적 아이디어들에 아주 감사드린다. 하지만 우리는 혼자서 할 수 없다. 미국과 한국은 우리끼리 할 수 없다. 우리는 북한의 관여가 필요하고 그들이 준비됐을 때 그들과의 논의에 계속 열려 있다”고 언급했다.

이 본부장은 “지금 주어진 상황 속에서 이 상황을 어떻게 관리하고 또 대화를 어떻게 재개를 할 것인가, 또 그 대화 속에서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이라는 양국의 공동 과제를 어떻게 이끌어 나갈 것인지에 대해서 다양한 방법을 얘기했다”고 밝혔다.

이어 “최근의 대화 중에 제일 좋았다고 생각한다”고 밝히면서 “앞으로도 지금 상황이 그러하듯이 한국과 미국이 공조하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비건 대표와 앞으로도 다양한 수단과 계기를 통해 협의를 계속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비건 부장관이 종전선언을 떠올리게 하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언급한 것은 물론 ‘북미관계 정상화’를 말한 것은 2018년 싱가포르 1차 북미 정상회담 합의 사항의 효력을 유지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전날 미국에 도착한 이 본부장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비건 부장관과 종전선언을 논의할 것”이라며 “미국도 종전선언에 관심을 갖고 검토한 적이 많다. 얘기하면 공감대가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한 바 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