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연설, 15일 녹화돼 18일 유엔에 발송 완료
청와대 관계장관회의, 정보 신빙성 파악하는데 주력
[미디어펜=김소정 기자]문재인 대통령의 유엔총회 기조연설이 방영되던 지난 23일 새벽 청와대에서 열렸던 긴급 안보관계장관회의에서 유엔연설에 대한 문제 제기가 있었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청와대가 29일 “근거없는 무책임한 주장”이라며 유감을 표했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23일 새벽에 열린 긴급 안보관계장관회의에서 유엔연설 문제제기가 나왔다’ ‘종전선언 연설 영향 안주려 대통령에 일부러 보고 안한 것’이라는 야당 의원의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며 “근거없는 무책임한 주장에 대해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 청와대./미디어펜

앞서 정진석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28일 국회 본청 계단 앞에서 국민의힘이 개최한 ‘북한의 우리 국민 학살 만행 규탄 긴급의원총회’에서 “(공무원이 사망한 직후인 23일) 새벽 1시(에 열린) 안보관계장관회의에서도 참석자 중 한 사람은 이 와중에 종전선언 (유엔) 연설을 강행해도 되느냐는 문제를 제기했다고 들었다”며 “그 의견이 묵살된 채 연설이 이뤄졌고 국제사회의 웃음거리가 되고 말았다”고 비판했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의 지난 23일 유엔총회 연설 방영은 북한군에 의한 어업지도원 사망 사건이 발생하기 전인 지난 15일 녹화돼서 18일 유엔 측에 이미 발송이 완료됐다고 밝힌 바 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지난 24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문 대통령의 유엔총회 연설이 방영되던 시각 청와대에서 관계장관회의가 열렸지만 정보의 신빙성을 파악하고 있는 상태에서 유엔 연설과 관련해 추가적 조치를 취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태였다”고 설명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