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국내에서 유통되는 생리대의 97%에서 발암물질이 검출됐다.

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이용호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일회용 생리대 건강영향 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전체 조사대상 666개 품목 중 97.2%에 달하는 647개 제품에서 국제보건기구와 국제암센터가 분류한 발암류 물질이 검출됐다.

발암류물질은 생식독성과 발암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알려진 디클로로메탄, 헥산, 클로로포름, 벤젠, 트리클로로에틸렌, 톨루엔, 테트라클로로에틸렌, 에틸벤젠, 스티렌, 자일렌 등이다.

국제암연구소가 지정한 1급 발암물질인 벤젠, 트리클로로에틸렌이 검출된 품목은 666개 중 165개(25%)였다. 유럽 화학물질관리청에서 지정한 생식독성물질인 스테렌, 클로로포름, 톨루엔, 헥산이 검출된 항목은 639개(95.9%)였다.

해외 직구 제품 25종에서도 모두 발암물질과 생식독성물질이 검출됐다.

특히 해외 직구한 유기농 생리대의 7개 중 6개(85.7%)에서 벤젠이 검출돼 국내 유기농 제품(14%)보다 검출률이 높았다.

환경호르몬으로 불리는 프탈레이트류, 1급 발암물질 다이옥신이 검출된 제품도 많았다. 식약처가 지난해 국내에 유통 중인 생리대, 팬티라이너, 탐폰 등 여성 생리용품 126개 제품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73개에서 프탈레이트류 성분이 검출됐다. 일회용 일반 생리대 3개 제품, 다회용 면 생리대 8개 제품 전체에서 다이옥신류 성분이 검출됐다.

이 의원은 "식약처가 2017년 9월 생리대 위해성 평가 발표 당시 안전하다고 강조했고 지난해 12월 생리용품 품질점검 결과 발표에서도 다이옥신류가 인체에 유해한 수준은 아니라고 발표했지만, 과연 믿고 사용해도 되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수많은 제품 가운데 발암류와 프탈레이트류, 다이옥신류 등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검출되지 않는 제품도 있는데 검출량이 소량이기 때문에 안심하라고만 하는 것은 국민을 기만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이용호 의원. /사진=연합뉴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