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4돌 한글날 맞아 "더불어 사는 세상의 꿈, 세계인과 나누길"
[미디어펜=김소정 기자]문재인 대통령은 9일 574돌 한글날을 맞아 "더불어 사는 세상을 향한 ‘한글의 꿈’을 세계인과 함께 나누는 날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SNS에 올린 글을 통해 "한글에는 세종대왕의 애민정신과 함께 만물의 공존과 조화, 상생의 세계관이 깃들어 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백성 스스로 깨치는 힘을 믿었던 세종대왕은 남녀노소 누구나 자신의 말과 뜻을 글로 실어 펴는 데 어려움이 없는 세상을 치열하게 궁리했고, 마침내 한글을 만드셨다"며 "그래서 한글은 창제자와 창제 시기와 창제 동기와 창제 원리가 확인되는 유일한 문자"라고 설명했다.  

   
▲ 문재인 대통령./청와대

이어 "오늘 우리에게 모국어를 남겨준 선조들의 마음을 되새기며, 국민들과 함께 574돌 한글날을 자랑스럽게 여긴다"면서 "우리를 우리답게 하고, 서로를 연결하며 더 큰 힘을 발휘하게 하는 바탕에도 한글이 있었다"고 했다.

또 "일제 강점기에는 한글을 지키는 그 자체가 독립운동이었다. 우리는 한글을 익혀 기적 같은 경제성장과 민주화의 길을 열었고, 문화를 일궈 세계 속으로 나아갔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K팝과 드라마, 영화, 웹툰을 접한 세계인이 한글을 통해 한국을 더 깊이 알아가고 있다"며 "길거리에서 만난 아시아 어린이들이 우리말 인사를 앞다투어 하는 모습을 보면서, 또 K팝 공연 때 세계의 젊은이들이 우리말로 떼창을 하는 모습을 보면서 가슴이 뭉클해진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언어는 생각의 집을 짓고, 만남의 뜰을 가꾸게 한다"면서 "우리 스스로 우리 말과 글을 더욱 사랑할 수 있도록 정부부터 행정에서 쉬운 우리말을 쓰기 위해 노력하겠다. 법률 속의 일본식 용어, 어려운 한자 용어를 쉬운 우리 용어로 바꾸는 작업도 꾸준히 해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한글날은 한때 ‘공휴일이 많아서 경제가 어렵다’는 이유로 공휴일이 아닌 기념일로 격하된 적도 있었으나 국민의 힘으로 다시 5대 국경일의 하나로 승격됐다"며 "우리가 한글날을 소중히 여겨야 하는 또 하나의 이유"라고 말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