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셋값은 오르지만 월세는 하락한다는 보도가 연일 잇따르고 있다.

그러나 주택 통계를 발표하는 기관들의 각기 다른 기준이 부동산 시장의 혼란만 가중시키며 월세에 내몰린 서민들을 더욱 힘겹게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 사진=정부와 민간 부동산 전문업체들의 서로다른 주택 통계 결과가 서민들의 월세살이를 더욱 힘들게 하고 있다./사진=뉴시스

최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지역 아파트 월세가격지수는 10월보다 0.2%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월세 가격은 8개 시·도 평균보다 더 많이 내려 전년 동기 대비 2.5%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부동산114의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변동률은 0.01%를 기록해 10월까지 이어진 하락세가 멈춘 것으로 집계됐다.

감정원과 부동산114의 조사 결과가 다른 이유는 주택 통계의 산정 방식 때문이다.

감정원은 전국 8개 시도에서 3000여가구의 표본을 선정해 매달 조사를 벌인 반면에 부동산114의 경우 전국 회원사를 통해 파악된 실거래가를 주간 단위로 입력하는 산출 방식을 적용한다.

통계청에서 5년마다 실시해 산정하는 ‘인구주택총조사’는 부실한 통계의 대표적인 케이스다. 정확한 통계를 산정하기 위해서라도 서민들이 자가(自家)·전세·월세·보증부월세(반전세) 등 주택 점유방식에 따라 얼마나 살고 있는지 파악해야 하지만 인구주택총조사는 한계가 있다.

특히 최근 급증하고 있는 반전세의 경우 따로 구분돼 있지 않아 서민들의 혼란을 더욱 가중시킨다.

이는 국토교통부에서 2년 주기로 실시하는 ‘주거실태조사’의 경우 월세를 보증부월세 및 순수월세를 근거로 집계하는 등 현실성이 떨어진 통계를 산출하고 있다.

매달 발표하는 ‘소비자물가지수’를 통한 월세변동추이 역시 통계청이 5500여개 사례 중 재계약 등 거래가 발생한 경우만 반영하기 때문에 실제 표본이 작은 오류를 범하고 있다.

이러한 시장 흐름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정부의 통계로 갈수록 신뢰도가 떨어진다면 추가적으로 발표될 부동산 대책에 대한 효과 마저 반감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각종 정책을 발표하기 전에 시장에 대해 투명하고 정확하게 들여다볼 수 있는 통계 확보 개선이 가장 시급하다는 의견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임대차시장 투명화의 토대인 통계를 보완하지 않으면 정책의 실효성도 떨어질 수밖에 없다”며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약자인 세입자들의 주거난이 더욱 심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조항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