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 바이러스 확산, 신흥국에 환율방어와 경기부양 동시 강요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상당수의 신흥국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확산)에 따른 여파와 고질적인 자체 신용불안으로, 환율 위험에 노출될 위기에 처했다.

연말 바이러스 확산은 신흥국들에게, 환율방어와 경기부양이라는 '두 마리 토끼 잡기'를 동시에강요할 전망이다.

하지만 이미 부채비율이 높아 신용 압박을 받고 있는 일부 신흥국의 경우, 팬데믹 환경에서 금융 완화가 쉽지 않을 것으로 우려된다.

   
▲ 브라질의 구직 행렬 [사진=연합뉴스]


신흥국들의 부채는 지난 2007년 10조 달러로 전 세계 빚의 8%였으나, 2021년에는 60조 달러로 26%까지 불어날 전망이다. 같은 기간 선진국 부채가 50% 늘 때, 신흥국 빚은 6배나 증가한 것.

향후 글로벌 저수요 국면이 길어지는 만큼, 기저에 깔린 신흥국 통화가치 하락요인이 표면화될 수 있다.

11월 중 신흥국 통화정책은 '진퇴양난'이 우려된다.

상반기에는 20개 신흥국이 금리인하를 했는데, 25개 주요 신흥국 중 최근 금리를 내린 국가는 멕시코, 이집트, 나이지리아 3곳 뿐이고 헝가리, 터키는 오히려 금리를 인상했다.

시장에서는 대다수 신흥국은 금리인하가 사실상 어렵다는 중론이다. 자본유출 위험 때문이다.

올해 미국 달러화가 글로벌 약세였지만, 상당수 취약 신흥국 통화도 여전히 약세고, 여전히 심각한 절하 상태인 실정이다.

연초 대비 미 달러화와 비교한 통화가치 하락률은 브라질의 경우 -42.9%에 이르고, 터키-39.3%, 러시아 -27.8%, 남아프리카공화국 -16.7%, 멕시코 -12.1% 등이다.

신흥국 통화정책을 어렵게 만드는 가장 큰 요인은 부채와 재정부담이다.

많은 신흥국들이 국채만기 도래와 재정적자로 국내총생산(GDP)의 10% 이상 세수 부족을 외부로부터 조달해야 한다.

섣불리 금리를 내릴 경우, 환율절하로 자본유출 우려와 대외부채 차환이 어려워지고, 글로벌 저수요 상황에서 수출개선보다는 물가상승 부담만 고스란히 떠안게 될 가능성이 높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