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코로나19 관련 빅데이터 분석 발표
   
▲ 온라인 콘서트서 만난 방탄소년단과 팬클럽 '아미' [사진=연합뉴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로, 집 밖에서 즐기던 문화생활이 온라인을 통해 집 안으로 들어온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문화체육관광부의 '코로나19 일상생활 관련 빅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 전후로 비교할 때 '(문화 콘텐츠를) 보다'의 연관어 가운데 가장 높은 언급량 증가율을 보인 분야는 콘서트(45.9%)로 조사됐다.

그 뒤를 이어 드라마(45.1%), 독서(42.1%), 웹툰(38.6%), 클래식(27.1%), 게임(19.6%) 등이었다.

특히 콘서트·피아노·클래식·노래 등 음악 분야 연관어 증가가 두드러졌다.

공연장 콘서트와 클래식이 비대면 온라인으로 바뀌면서, 집 안에서도 즐길 수 있게 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됐다.

콘서트의 주요 연관어로는 '소통', '유튜브'가 나타나, 유튜브로 생중계하는 콘서트를 보면서 소통하는 것을 보여줬고, 클래식 연관 핵심어로는 '무료', '동영상'이 등장해 집 안에서 부담 없이 공연을 즐겼음을 시사한다.

또 드라마의 주요 연관어는 '집콕', '넷플릭스'로,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를 통해 다시보기, 몰아보기를 했음을 나타냈다.

독서의 핵심 연관어는 '아이', '엄마', '독서모임', '책스타그램', '전자책', '오디오북' 등이었다.

문화 콘텐츠 소비 방식은 '생중계·실시간·채팅' 언급량이 코로나19 이전 대비 각각 168%, 81%, 67% 급증, 실시간 소통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다.

이번 조사는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일(1월 20일) 전후로, 약 1년간(2019년 7월∼2020년 8월) 국민 일상생활과 관련된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커뮤니티 게시물 약 1400만 건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다.

문체부 조현래 국민소통실장은 "실시간 소통이나 가상현실(VR) 등 기술 활용에 높은 관심을 나타낸 것처럼, 비대면 문화콘텐츠가 코로나19 시대에 일상을 즐기는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며 "다양한 비대면 콘텐츠를 실험해볼 수 있도록 투자와 지원이 이뤄져야 할 때"라고 말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