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정부부채 우려...러시아, 저유가로 한계...인도, 물가상승 압력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경기침체 장기화와 신용리스크에 시달리고 있는 대부분 신흥국들은 적극적인 재정정책이 시급한 상황이나, 문제는 재정확대의 ‘기회비용’이 크고 가진 재정 여력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세계적 대유행(팬데믹)이 야기한 수요 충격은 각국의 적극적인 정책 공조에 힘입어 순차적으로 저점을 확인하고 있으나, 상당수 신흥국들은 재침체 우려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 브라질의 구직 행렬 [사진=연합뉴스]


국제통화기금(IMF)은 10월 수정 전망에서, 신흥국 성장률 전망치를 올해 -3.3%로 6월 대비 0.2%포인트 하향조정했다.

신흥국도 선진국들과 마찬가지로 수요 촉진, 고용 안정, 신용리스크 통제를 위한 적극적 재정정책이 시급한 상황이지만, 대정 확대에 대한 '장벽' 역시 분명하다.

정부부채 규모 확대에 따른 신용 리스크가 가장 큰 저항이고, 부양책 집행에 대한 기회비용도 적지 않기 때문.

외환시장 불안, 물가 상승, 외국인 자금 이탈은 신용.유동성 경색 우려도 동반할 수 있고, 이미 코로나19 긴급 대응 프로그램 운영으로 정부지출이 급증한 점도 피로도를 가중시키고 있다.

개별 국가들의 사정도 녹록치 않다.

브라질은 정부 지지율을 의식한 포퓰리즘 기조가 지속될 경우, 정부부채 우려는 더욱 심화되고, 코로나19 재확산세로 정책 수단도 제한될 전망이다.

러시아는 저유가 환경이 지속되는 것을 우려, 정부가 재정정책에 소극적이며, 추가 통화 완화 여력도 한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의 경우는 코로나19 창궐 이전부터 시작된 저금리 기조에 물가 상승 압력이 가중됐고, 코로나19 확산세에 성장 훼손 우려가 심화된 것도 정책 여력 확대에 부담이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