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 활용 문화재 보존·활용 등 7대 중점 추진과제 수립
   
▲ '코로나19 이후 문화유산 미래전략' [사진=문화재청 제공]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문화재청이 '코로나19 이후 문화유산 미래전략'을 발표하고, 7개 중점 추진과제를 수립했다.

문화재청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고 사회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문화유산 미래전략을 수립해 오는 2030년까지 추진한다고 9일 밝혔다.

미래전략은 첨단과학기술을 활용해 문화재를 보존·활용하고, 문화재를 치유공간으로 이용하며, 시민 중심의 문화유산 보존방식을 도입해 지역공동체를 회복하는 등, 문화유산에 대한 인식변화를 유도하는 게 초점이다.

코로나19로 인한 환경변화, 국민들의 인식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국민의 실생활에 도움이 되도록, 문화유산 보존·활용에 근본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7개 중점 추진과제는 ▲ 문화유산 디지털 혁신 기반 마련 ▲ 첨단기술 기반 안전한 예방관리 체계 구축 ▲ 지친 국민을 치유하는 기반 조성 ▲ 일상생활 속 문화유산 인프라 녹색 전환 ▲ 문화유산 기반 신산업·일자리 창출 ▲ 실감형 문화유산 콘텐츠 활용 지원 ▲ 공유·상생을 통한 주민 주도형 보존·활용이다.

우선 문화재청은 문화유산 정보와 일하는 방식을 디지털 중심으로 전환하기 위해, 문화유산 디지털 정보를 생산·저장·관리하는 '데이터 댐'을 2030년까지 구축하고, 인공지능(AI)으로 문화유산 4차원 공간을 조성해 주요 문화유산 정보를 디지털 정보로 구현할 계획이다. 

또 디지털 정보를 공개해 국민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디지털 문화유산 전환을 위해 연구개발 및 전문 인력을 양성할 방침이다.

아울러 가상공간에서 문화재 재해·수리 등을 모의실험하고, 실시간 사전점검 및 도난·대응 체계를 구축하며, 재해 위험을 사전에 예측하는 인공지능 기반 사전예방 관리체계를 도입한다.

조선왕릉 숲길과 명승 옛길을 치유 공간으로 조성하고, 궁궐·무형유산·세계유산을 온라인 영상으로 제작·보급하는 비대면 문화유산 치유 콘텐츠 제공, 고도(古都)와 근대역사문화공간 10개소를 교육과 체험, 놀이 등을 위한 공간으로 운영하는 치유형 역사문화공간 조성 등을 추진한다.

문화유산을 친환경 녹색공간으로 전환해 삶의 질도 개선하고, 도심 속 문화유산을 새로 단장하며, 문화유산 거주공간 생활환경을 개선함과 아울러, 환경친화적 문화유산을 위해 전시·관람·교육시설을 정비할 계획이다.

그러면서 문화유산을 기반으로 한 신산업·일자리 창출을 추진, 문화유산 디지털 정보를 무료로 개방해 교육, 게임, 수리 등 산업 분야에 활용될 수 있게 하고, 문화유산 시장에 경영과 자금을 지원하며, 문화유산 산업단지를 조성할 예정이다.

문화유산에 대한 접근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실감형 문화유산 콘텐츠 활용 지원 과제도 추진키로 했다.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기술을 이용한 궁궐 관람 서비스, 인공지능 로봇 해설사 도입 등 실감형 기술을 활용한 콘텐츠를 제작·보급하고, 입장권 예약·추천 관람 구역·문화재 관련 전설·민담·이야깃거리 제공 등 문화유산 향유 지원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한다.

이와 함께 지역 주민이 문화유산을 활용해 공동체를 회복하고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도록, 문화유산 기업을 육성·지원하고, 생활밀착형 문화유산의 보존·활용을 확산하며, 주민 주도의 문화유산 활용 체계를 정비하기로 했다.

문화재청은 "코로나19가 우리 생명과 사회를 위협하는 가운데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설 때라고 판단해 이번 전략을 수립했다"며 "국민의 안전한 삶, 지속가능한 환경과 일자리 등, 각종 사회 현안을 해결하는 문화유산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