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일부 인사 최근 테이퍼링 필요성 언급...현실은 내년 말까지 '시기상조'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유럽중앙은행(ECB)은 10일(현지시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통화정책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0%로 동결하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경제 충격에 대응하기 위해, 긴급채권 매입 규모는 5000억 유로 확대하면서 순매입기간도 9개월 연장했다.

또 내년에 4가지 종류의 긴급장기대출프로그램(PELTROs)을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통화완화 정책을 더 강화하겠다는 방침을 천명한 것이다.

반면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일부 인사는 최근 내년말 채권매입 축소(테이퍼링) 가능성을 언급, 과연 '통화긴축'이 시작될 것인지 귀추가 주목된다.

   
▲ 미국 연방준비제도 건물 [사진=연합뉴스]


미 연준의 로버트 카플란 댈러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2021년 말부터 테이퍼링 축소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지금의 통화완화 정책기조에 대한 '출구전략'도 필요하다는 점에서, 원론적인 발언으로 시장에선 받아들였다.

그러면서, 카플란 총재가 내년 통화정책 결정권자에서 제외된다는 점과, 미국의 현 상황은 당분간 통화완화 정책 유지가 불가피하다는 점을 다행스럽게 생각하는 분위기다.

허정인 KTB증권 연구원은 "조기 테이퍼링에도 부작용이 크다"며 "경제가 온전히 회복되지 않은 상황에서 긴축정책을 시행할 경우, 더블딥(일시 경기 회복 후 재침체)이 발생하기 때문"이라며 "현재는 테이퍼링 논의가 '시기상조'로, 내년 말까지는 시행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대한 보수적으로 생각해도, '국채발행의 지속성'을 감안해야 한다며, 정부 부채는 한 번 늘리면 원금을 줄이는 것이 쉽지 않고, 연준은 국채에 대한 이자비용을 관리해 줄 필요가 있다는 것.

또 미국의 매크로 레버리지 증가는 대부분 정부부채가 이끌고 있는데, 상대적으로 국가신용도가 높다는 점에서 테이퍼링 연기가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그렇다고 연준이 선제적으로 통화완화 강화를 결정하기도 어렵다는 지적 역시 나온다.

미 의회에서 추가 경기부양책이 타결되고 실제 재무부에서 국채를 발행해야, 연준도 추가로 국채를 사들일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에서 유통 중인 미 국채의 55%를 이미 연준이 사들였기 때문에, 추가 매입은 연준에 대한 미국 정부의 의존도를 너무 높일 수 있고, 현 상황에서 국채를 사서 장기금리를 더 낮춰야 할 필요도 적은 탓이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