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적 업무 수행 중숙련 노동, 일자리 및 경제적 이윤 감소"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4차 산업혁명'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는 세계 각국 경제를 급속히 디지털로 전환시키고 있다.

이 경제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는 경제성장은 가능하지만, 분배는 더 악화시킬 것으로 전망됐다.

   
▲ 문재인 대통령이 '한국판 뉴딜 국민보고대회'에서 실시간 화상으로 연결된 한성숙 네이버 대표의 '디지털 뉴딜' 관련 발언을 듣고 있다. [사진=청와대 제공]


국회미래연구원은 최근 '디지털 전환에 따른 한국 경제사회 파급효과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렇게 지적했다.

보고서는 "향후 가속화될 디지털 전환 흐름은 경제사회 전반에 다양한 파급경로를 형성,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가져올 것"이라며, 이렇게 밝혔다.

보고서는 우리나라 산업 간 연관관계 및 제도 부문 간 연관관계를 함께 고려, 디지털 전환 진전에 다른 효과를 산업별 산출 효과, 부가가치 형성 효과, 가계 소득 형성 및 분배 효과 등으로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했다.

그 결과 우리나라 내 디지털 전환 가속화는 경제성장을 도모할 수 있으나, 소득 불평등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음을 전망했다.

이는 디지털 전환 기반의 기술변화가 '비정형적'이고 '인지적' 업무를 수행하는 '고숙련 노동'과 '디지털 전환 자본재'에 대한 수요를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형성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정형적 업무를 수행하는 '중숙련 노동'의 일자리 및 경제적 이윤 획득이 감소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여영준 미래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디지털 전환 시대 기술변화의 '편향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업스킬링, 리스킬링 및 창조적 학습 등을 보장 및 지원하는 형태로 제도적 개선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며 "향후 혁신정책은 급변하는 환경변와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는 학습역량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둬야 한다"고 제언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