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안무치‧첩첩산중 등도 상위권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교수들은 올 한해 우리 사회를 표현하는 사자성어로 '아시타비'(我是他非)를 선정했다.

교수신문은 지난 7일부터 14일까지 교수 906명을 대상으로 이메일 설문조사를 한 결과 올해를 대표하는 사자성어로 ‘아시타비’가 32.4%(복수 응답 허용)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다고 20일 밝혔다.

아시타비는 ‘나는 옳고 상대는 틀렸다’는 의미로, 한해 내내 정치·사회 전반에서 혼탁한 상황이 끊이지 않았던 현실을 꼬집기 위해 선정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고사성어가 아닌 ‘신조어’에 속한다.

교수신문은 아시타비를 추천한 정태연 중앙대 심리학과 교수의 견해를 소개해 눈길을 끌었다. 정 교수는 "소위 먹물깨나 먹고 방귀깨나 뀌는 사람들의 어휘 속에서 자신에 대한 반성이나 성찰, 상대를 위한 건설적 지혜와 따뜻한 충고, 그리고 상생의 소망을 찾아보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최재목 영남대 철학과 교수는 "올 한해 유독 정치권이 여야 두 편으로 딱 갈려 사사건건 서로 공격하며, 잘못된 것은 기어코 남 탓으로 공방하는 상황이 지속됐다고 생각했다"며 "정치적 이념으로 갈라진 이판사판의 소모적 투쟁은 이제 협업적이고 희망스러운 언행으로 치유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아시타비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선택을 받은 사자성어는 '후안무치'(厚顔無恥·21.8%)였다. 낯이 두꺼워 뻔뻔하고 부끄러움을 모른다는 의미로, 아시타비와 유사한 의미로 볼 수 있다.

‘코로나19’ 상황의 어려움을 지적한 사자성어인 '첩첩산중'(疊疊山中·12.7%) 역시 상위권을 차지했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