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자료=한국은행 제공 |
[미디어펜=백지현 기자]한국은행은 과거 위기와 비교할 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는 성장불균형을 더욱 크게 심화시킬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성장불균형이 심화되면 차별화된 고용 충격으로 고용회복이 더디게 나타나는 '고용 없는 경기회복'이 현실화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코로나19 위기 이후 성장 불균형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과거 위기 때에도 경기회복 이후 고용부진이 상당기간 지속된 경우가 있었지만, 이번 위기는 대면서비스업 등 취업유발 효과가 큰 산업의 피해가 커 고용회복 속도가 과거 위기와 비교해 더뎌질 우려가 있다.
한은은 코로나19에 따른 재택근무 확산 등 일자리 환경의 구조적 변화는 저임금 대면 서비스 근로자의 일자리를 줄이고, 이들의 장기 실업을 초래할 수 있다고 봤다.
또 실물경기가 위축된 상황에서 최근과 같은 자산시장으로의 자금쏠림 현상은 실물경기의 회복을 늦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했다. 특히 '실물-금융'간 괴리는 자산시장 부(富)가 고르게 분포되지 않은 현실에서 가계 자산과 소득 격차를 확대시켜 전체 소비를 제약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금리인하와 정부의 정책지원에 힘입어 기업신용이 늘어나고 있지만, 동시에 주택거래, 단기 주식매매 등 시장심리에 따른 자금쏠림도 크게 증가하면서 생산적 부문으로의 자원배분 기능이 약화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한은은 "부문간 불균형이 더욱 확대되고 길어지는 부정적 시나리오 아래서는 코로나19 충격이 금융부문까지 전이되는 상황까지도 발생할 수도 있다"면서 "자산시장으로의 자금쏠림이 크게 증가한 상황에서 경기회복 지연으로 시장의 기대가 급격히 조정될 경우에는 자산가격이 급락하면서 가계부채가 부실화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