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사외이사 10명 중 4명 관료 출신, 모피아→법조→금감원→한국은행→청와대 순

박근혜 대통령이 '관치금융'을 척결하기 위해 낙하산 인사가 없을 것이라 선언했지만 여전히 금융권에서는 관피아 전성시대다. 금융권 사외이사 자리가 관료·학계 출신 위주로 메워지고 있다.

   
▲ 제329회 국회(정기회) 본회의가 열린 지난 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본회의장에서 공직자윤리법 일부개정법률안(대안)이 재석 218인, 찬성 196인으로 가결됐다./뉴시스
24일 CEO스코어가 자산 2조원 이상 118개 금융사의 3분기 말 사외이사 현황을 조사한 결과, 올해 신규 선임된 120명의 사외이사 가운데 관료 출신은 47명(39.2%)에 달했다. 학계(25.8%), 재계(20%), 언론(9.2%)가 뒤따랐다.

이에 따라 자산 2조 원 이상 금융사에서 활동하고 있는 총 339명의 사외이사 중 관료 출신은 125명으로 전체의 36.6%에 달했다.

학계는 104명으로 31%를 차지했고, 이어 재계(64명, 19%), 언론(21명, 6%), 법조(8명, 2.4%) 등이 뒤를 이었다.

2012년 3분기말에는 관료 출신이 38.1%로 가장 높았고, 이어 학계(29.8%), 재계(20.2%), 언론(3.3%), 법조(2.4%) 등의 순이었다.

관료 출신 사외이사 125명의 전 근무처는 기획재정부가 34명(27.2%)으로 가장 많았고, 법원·검찰 등 법조 출신이 25명(20%)으로 그 다음을 차지했다. 금감원 출신이 13명(10.4%)이었고, 한국은행이 8명(6.4%), 청와대가 7명(5.6%) 순이었다. 이 외 산업은행이 5명, 국세청 4명, 감사원과 산업통상자원부가 각각 3명씩이었다.

관료와 학계 출신을 합친 비중은 67.6%로 2년 전 67.9%과 거의 차이가 나지 않았다. 정부의 관피아 척결 노력에도 불구하고 관료와 학계에 치우쳐 있는 금융권 사외이사의 출신별 분포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었던 셈이다.

관료 출신 사외이사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동부생명보험이었다. 이 회사는 3분기 말 사외이사 3명 전원이 관료 출신이었다. 양수길, 유재성, 이문석 사외이사가 각각 청와대, 부산지검, 총무처 장관 출신이다. 2012년 3명 중 1명이던 관료 출신이 올해는 3명으로 늘었다.

삼성생명보험은 4명 중 3명, 경남은행·교보증권·농협금융지주·동부화재해상보험·KDB캐피탈·유진투자증권 등은 3명 중 2명이 관료 출신이었다.

BS금융지주와 현대증권은 5명 중 3명이 관료 출신이었고, IBK캐피탈, SK증권, 기업은행, 대우증권, 롯데카드, 삼성증권, 삼성화재해상보험 등도 사외이사의 절반이 관료 출신으로 채워졌다.

한편 4대 시중은행 중에서는 하나은행이 6명 중 3명(50%)으로 관료 출신 비중이 가장 높았다. 내년 3월 사외이사 전원이 사퇴를 결정한 국민은행은 5명 중 2명(40%), 신한은행과 외환은행은 각각 6명 중 1명(16.7%)이 관료출신이었다. 우리은행은 사외이사가 4명이었고 관료출신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