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오는 15일 올해 첫 금통위 개최
[미디어펜=백지현 기자] 한국은행의 올해 첫 통화정책방향에 금융권 안팎의 관심이 모아지는 가운데 시장에선 현재의 수준인 연 0.50%로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으로 유력하게 보고 있다.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사진=한국은행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에서 우리 경제가 정상화될 때까지 완화기조를 유지하겠다는 게 한은의 입장이다. 더욱이 가계대출 부실 우려와 함께 부동산‧주식시장으로의 자금쏠림 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어 금리를 조정하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이다.

13일 한은에 따르면 오는 15일 통화정책방향을 결정하는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한은은 지난해 3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충격이 본격화하자 기준금리를 연 1.25%에서 연 0.75%로 0.50%포인트 인하한 데 이어 5월에는 사상 최저 수준인 연 0.50%로 조정한 후 동결 기조를 유지해 왔다.

시장에선 금통위원 만장일치로 기준금리가 동결될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한은도 코로나19 충격에서 벗어나기 전까지 완화적 정책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수차례 밝혀 왔다. 이 총재는 신년사에서 "앞으로 국내경제가 완만히 회복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성장경로의 불확실성이 높다"면서 "우리 경제가 안정적인 회복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될 때까지 완화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무엇보다 지난해 가계부채 급증에 따른 가계대출 부실 위험이 큰 상황에서 금리를 올리기는 힘든 상황이다. 그렇다고 금리를 인하하기도 쉽지 않다. 가계는 저금리 기조에 빚을 내서라도 주식‧부동산 투자에 열을 올리고 있다. 개인투자자의 매수세에 코스피 지수는 사상 처음으로 3100선을 돌파했다. 금리를 내릴 경우 자금쏠림 현상을 더욱 부채질할 게 불 보듯 뻔하다.

이 총재는 지난달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기자설명회에서 "코로나19 확산 이후에는 저금리 지속에 대한 기대가 높은 가운데 자산가격이 급등하고 있으나 과거와 같이 부의 효(wealth effect)를 통해 성장을 촉진하는 선순환 효과는 제한적"이라며 "자산가격 상승이 자산 불평등 확대와 금융 불균형 누증과 같은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금통위원들도 금융‧실물경제의 괴리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데 대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지난 8일 한은이 공개한 지난달 24일 금통위 정례회의 의사록에 따르면 한 금통위원은 "가계 신용과 기업 신용이 급증하고 자산 가격 상승 압력이 증대되는 등 금융 불균형이 심화될 우려가 높아졌다"면서 "이에 대한 조기 경보 메시지를 명확히 전달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