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기자간담회 “하반기 남북관계 정상화 위해 최선 다할 것”
“방역‧스포츠행사 계기 제재 유연화로 협력 공간 확대 중요”
[미디어펜=김소정 기자]이인영 통일부 장관은 25일 한미 간 대북정책 공조와 관련해 “문재인정부와 바이든 정부 간 공통점에 맞춰서 주력하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이 장관은 이날 남북회담본부에서 가진 신년기자간담회에서 “바이든 정부가 한반도 정책라인을 세팅하고, 새 한반도 정책을 수립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 동안 우리정부가 충분히 소통하면 입장 차를 넘어서 훨씬 긍정적인 평가를 이뤄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장관은 구체적으로 “바이든 대통령은 김대중 대통령의 햇볕정책을 지지한 바 있다. 후보자 시절 북한이 핵무력을 감소시키면 북미정상회담도 가능하다고 했다. 또 대북제재에 있어서도 완화와 강화를 적절히 배합해서 김정은 위원장으로 하여금 미래 비전을 잘 알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견해를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대북 인도적 협력을 추진하는 것은 우리정부와 입장이 같고, 바이든 정부의 ‘동맹 중시’도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에 대한 이해와 소통을 깊고 넓게 가져갈 수 있는 좋은 조건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이 장관은 “바이든 미 행정부 출범으로 한반도 정세는 명백히 변곡점에 진입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올해야말로 ‘통일부의 시간’이라고 생각한다. 적극적이고 주도적으로 올 상반기에 남북관계 복원, 하반기에 남북관계 정상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조 바이든 미국 새 정부에 대해 이 장관은 “미국은 매우 진지하고 차분하게 북한 문제에 접근할 것으로 판단한다. 바이든 정부와 우리정부 간 긴밀한 협력과 상황 관리 및 진전을 위한 노력이 더 중요해진 시점”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바이든 정부의 외교안보 라인 면면을 살펴보면 대체로 북한을 잘 아는 합리적 대화론자들로서 그간 바이든 대통령과도 상당 기간 팀워크를 이루며 전문성과 신뢰를 쌓아왔다고 평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이인영 통일부 장관이 25일 서울 종로구 남북회담본부에서 통일부 출입기자단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2021.1.25./사진=연합뉴스

또 “다만 미국 새 정부가 대북정책 검토를 마치고 북미가 다시 대화장에 마주앉게 될 때까지 일정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며 “몇개월의 정세 시차동안 통일부가 할 수 있는 영역에서부터 적극적이고 주도적으로 임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의 새 정부와 정책적 조율을 이뤄가면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재가동의 여건을 만들겠다. 이 과정에서 비핵화와 평화구축 노력은 당연히 전개될 것”이라며 “이를 위해 남북 간 연락채널 복원과 대화 재개를 꾸준히 추진하겠다”고 했다. 

특히 “당장 설 계기 화상 이산가족상봉을 시작했으면 좋겠다”고 밝히면서 “미국 정부도 재미 이산가족 문제에 관심이 많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아울러 “남북 간 코로나 방역 협력을 시작으로 남북 유엔 동시 가입 30주년, (도쿄올림픽 등) 스포츠 행사를 계기로 북미대화가 재개되고, 대북제재 문제가 유연하게 다뤄질 수 있다면 협력 공간은 확대될 것“이라고 했다.

이 장관은 “이렇게 될 때 4.27 판문점선언과 9.19평양선언 및 9.19 남북군사합의와 같은 많은 합의들을 전면적으로 이행해나갈 수 있는 계기도 맞게 될 것”이라며 “김정은 위원장도 (지난 8차 당대회에서) 언급한 대로 남북이 평화와 번영의 출발점에 다시 서고 한반도 평화프로세스가 제 궤도에 오를 수 있도록 올 한해 통일부의 노력을 지켜봐달라”고 했다.   

이 장관은 “통일부는 남북관계 발전이 북미관계를 촉진하고, 북미관계의 진전이 남북관계의 더 큰 발전을 만들어내는 실질적인 한반도 평화의 선순환 과정을 주도하면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체제 구축, 경제협력을 통한 공동 번영의 토대를 올해 안에 만들 수 있는 전환의 계기를 만들어내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