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교육문화심의위' 구성해 해양교육·문화 정책 판단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앞으로 갯벌이나 우수한 해양생명자원 등을 보유한 지역에는 의료·복지·교육 시설을 연계, 해양치유서비스를 제공하는 '해양치유지구'가 들어선다.

해양수산부는 16일 서울과 세종을 연결한 화상 국무회의에서, 해양치유산업의 육성을 골자로 하는 '해양치유자원의 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해양치유자원법) 시행령 제정안이 심의·의결됐다고 밝혔다.

해양치유란 갯벌·염지하수·해양생물과 같은 해양자원을 활용,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증진하는 활동으로, 독일에는 이미 45조원 규모의 시장이 있다.

해수부는 국내에도 해양치유산업을 본격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지난해 2월 해양치유자원법을 제정하고, 구체적인 이행 방법과 법적 근거 등을 담은 시행령을 만들었다.

   
▲ 전남 완도군 신지도 '명사십리해수욕장'에 건립 중인 해양기후치유센터 조감도 [사진=완도군 제공]


이번 제정안에는 정부가 의료·복지·교육 시설을 연계한 해양치유지구를 지정해 제조, 판매, 체험 등의 시설을 지방자치단체 등과 공동으로 운영할 수 있는 근거가 담겼고, 해양치유서비스를 보급하고 해양치유 관련 창업 지원 등의 업무를 할 '해양치유관리단' 운영 근거도 포함됐다.

앞서 해수부는 오는 2024년까지 해양치유 체험 인원 100만명 달성, 연안지역 1900명 고용 효과 유발, 연간 2700억원 규모의 생산효과 발생 등의 목표를 작년 1월 발표했으며, 전남 완도, 충남 태안, 경북 울진, 경남 고성 등 4곳에 '해양치유센터'를 조성하고 있다.

이날 국무회의에서는 해양 교육·문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해양교육 및 해양문화의 활성화에 관한 법률'(해양교육문화법) 시행령 제정안도 의결됐다.

이에 따라 교육부, 행정안전부, 문화체육관광부 고위공무원이나 해양 교육·문화 전문가로 '해양교육문화 심의위원회'를 구성, 해양교육과 해양문화 정책에 대한 사항을 심의토록 했다.

해수부는 5년마다 '해양교육 및 해양문화의 활성화에 관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각 지방자치단체의 해양교육 프로그램 개발·보급에 대한 비용을 지원토록 했다.

한편 수산식품산업 정책을 본격 추진하기 위해, 정부가 5년마다 관련 기본계획을 세우도록 하는 '수산식품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수산식품산업법) 시행령 제정안도 국무회의를 통과했다.

이 제정안은 수출지원 관련 전문 인력을 보유하고 수출지원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하는 기관만이 수출 지원기관으로 인정받을 수 있게 하고, '대한민국 수산식품 명인' 지정은 외부 전문가의 의견을 받아 결정토록 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