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윤광원 기자] 해외시장에서 중국산 농산물이 한국산이라고 표시하거나 제품명을 한글로 표기, 중국산을 한국산으로 오인하게 만드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최근 동남아시아 시장 등에서 중국산 배 포장상자 겉면에 '한국배'라고 표시하고, 배에 두른 띠지도 우리나라 제품을 그대로 모방하거나, 중국산 단감에 엉성한 한글을 표기해 판매하는 경우가 확인됐다고 18일 밝혔다.

오인을 유발하는 표기로 우리 수출 농가가 피해를 보고, 한국산 농산물의 이미지가 훼손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정부는 한국산 농식품 구별방법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기로 했다.

   
▲ 한국산 배 공동브랜드 [사진=농림축산식품부 제공]


우선 태국, 베트남 등 한국산 식품의 인기가 높은 시장에서 현지 유력 TV, 식품 전문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오인 표기 사례와 공동브랜드를 활용한 한국산 구별 방법을 알린다.

대형마트와 오프라인 매장에는 진열대에 태극기와 공동브랜드를 붙이고, QR코드 배너를 비치해 소비자의 인지도를 높일 계획이다.

또 해외시장에서 브랜드 보호를 위해 추진 중인 공동브랜드 상표권 출원은 수출통합조직별로  계속 확대하고, 조리법 중심의 기존 QR코드에는 한국산 확인 기능을 추가, 쉽게 원산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다양한 상품군 속에서도 한국산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한국산 농식품에는 통일감 있는 스티커나 띠지를 부착하고, QR코드가 포함돼 위조가 어려운 식별마크를 제작해 붙인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앞으로 고품질 농산물의 수출을 확대해 수출농가의 소득을 늘리는 데 기여하고, 해외시장에서 우리나라 농산물이 프리미엄 상품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