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4분기 하위계층은 근로소득, 상위계층은 사업소득 타격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3차 확산이 시작됐던 지난해 4분기에 소득 불균형이 심화, 2분기 연속 분배 지표가 나빠졌다.  

정부가 코로나19 피해에 대한 2차 재난지원금 등 취약계층에 대한 집중 지원에 나서 하위 20%의 소득을 플러스(+)로 돌려놨지만, 고용시장 한파가 하위소득층에 더 큰 상처를 남겼다.  

통계청은 이런 내용의 2020년 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작년 4분기 중 소득 1분위(하위 20%)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64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했고, 소득 5분위(상위 20%)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002만 6000원으로 2.7% 늘었다.

   
▲ 새벽 출근을 하는 노동자들 [사진=연합뉴스]


두 계층의 소득 증가율 격차를 만든 것은 근로소득이다.

1분위 가구의 근로소득(59만 6000원)은 13.2% 급감했고, 2분위 가구 역시 5.6% 줄었다. 

하지만 3분위와 4분위 가구의 소득이 각각 0.0%로 정체된 동안 5분위 가구(721만 4000원)만 1.8% 증가했다.

지난해 4분기는 취업자 감소 폭이 44만 1000명으로 코로나19 사태 이후 고용시장이 가장 나빴던 시기로, 소득 하위 가구 근로자의 일자리가 임시·일용직 등 상대적으로 열악, 이들이 근로소득에서 큰 타격을 입은 결과다. 

근로소득은 가구 소득 중 약 2/3를 차지한다.

사업소득은 반대 양상이 나타나, 1분위 가구(27만 9000원)가 6.2% 증가한 반면, 5분위 가구(182만 7000원)는 8.9% 급감했다. 

5분위의 사업소득이 감소한 것은 4분기 기준으로, 지난 2003년 통계 작성 이래 처음이다.

3분위와 4분위의 사업소득 역시 각각 5.7%, 5.1%씩 줄어, 사업소득 측면에선 상대적으로 부유한 계층이 더 큰 타격을 입었다.

2차 재난지원금 등 공적이전 소득 역시 소득 격차를 상대적으로 줄이는 역할을 했는데, 1분위 가구의 공적이전 소득은 54만 3000원으로 17.1% 늘어 총소득을 증가로 반전시켰다.

5분위 가구의 공적이전 소득도 26만 9000원으로 11.7% 늘었는데, 추석 연휴 여파로 사적이전 소득이 73.7% 증가했다.

지출은 1분위 가구가 월평균 188만 5000원으로 1.4% 늘었고, 5분위 가구는 1.0% 증가하는 데 그쳤다.

소비지출은 1분위가 1.8% 늘리는 동안, 5분위는 0.4% 줄였다.

소비지출 비중은 1분위 가구는 식료품·비주류음료(23.4%), 주거·수도·광열(14.8%), 보건(12.9%) 순이고, 5분위 가구는 교통(15.9%), 식료품·비주류음료(13.1%), 음식·숙박(12.6%) 순이다.

1분위의 처분가능소득(소득-비소비지출)은 137만 6000원으로 2.2% 증가했지만, 매월 평균 24만 4000원의 적자(처분가능소득-소비지출)를 냈다.  

5분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은 789만 5000원으로 2.3% 늘어, 흑자액은 월평균 338만 3000원에 달했다.

빈부 격차는 심화, 대표적 분배 지표인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이 악화됐다.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가구원 수별로 나눈 가처분소득을 1분위와 5분위 대비로 비교하는 지표로, 수치가 오르면 분배의 악화를, 수치가 내리면 개선을 의미한다.

작년 4분기 중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4.72배였는데, 5분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이 1분위보다 4.72배 많다는 의미이며, 전년 동기의 4.64배보다 0.08배 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이는 3분기에 이어 2개 분기 연속으로 분배가 악화됐다는 의미로, 3분기 중 5분위 배율은 4.88배로 1년 전보다 0.22배 포인트 나빠진 바 있다.

정부의 재난지원금 효과를 제거한 시장소득(근로소득+사업소득+재산소득+사적이전소득) 5분위 배율은 7.82배로, 1년 전의 6.89배보다 1배 포인트 가까이 확대됐다.
  
정부는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이날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장관회의(녹실회의)를 열고 "두 분기 연속 분배가 악화된 상황을 엄중히 인식한다"고 밝혔다.

또 "코로나19 취약업종·계층에 대한 피해지원 노력을 지속·강화하는 한편, 위기 이후 양극화가 고착화되지 않도록 '포용적 회복'을 위해 정책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