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얼미터 조사 44.8% 회복세…최고 지지율 4월 3주차 64.7%

박근혜 대통령 국정수행 평가가 긍정 44.8%, 부정 49.6%로 2014년을 마감했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대표: 이택수)의 2014년 마지막 주 12월 5주차 주간집계에서, 박 대통령의 취임 97주차 국정수행 지지도(긍정평가)는 1주일 전 대비 1.8%p 상승한 44.8%(‘매우 잘함’ 13.3% + ‘잘하는 편’ 31.5%)를 기록했다. 반면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0.2%p 하락한 49.6%(‘매우 잘못함’ 31.9% + ‘잘못하는 편’ 17.7%)로 조사됐다. 긍정평가와 부정평가의 격차는 2.0%p 좁혀진 -4.8%p를 기록했다. ‘모름/무응답’은 7.1%p.

   
 
지역별로 보면 특히 경기·인천(40.1%→51.1%▲), 부산·경남·울산(47.1%→50.3%▲), 대구·경북(59.6%→63.1%▲)에서 상승폭이 컸고, 연령별로는 20대(19.1%→23.6%▲)와 30대(24.0%→29.9%▲)에서 회복세가 컸다. 성별로는 여성(42.1%→48.4%▲)이, 직업별로는 가정주부(54.3%→63.6%▲), 노동직(52.8%→62.5%▲), 학생(20.8%→31.1%▲) 층에서, 지지정당별로는 무당층(18.7%→25.6%▲)과 새누리당 지지층(83.6%→85.1%▲), 이념성향별로는 중도(32.2%→35.3%▲) 및 보수(70.5%→71.9%▲) 성향에서 올랐다. 반면 대전·충청·세종(50.0%→36.8%▼), 서울(39.7%→38.0%▼) 지역, 50대(56.3%→55.4%▼), 남성(44.0%→41.2%▼), 사무직(30.2%→26.2%▼)과 농림어업(65.0%→45.5%▼), 새정치연합 지지층(13.1%→11.2%▼), 진보성향(23.6%→15.4%▼)에서는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일간으로 보면 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29일(월) 42.9%로 출발, 30일(화) 43.5%, 31일(수)45.4%를 거쳐 1월 2일(금) 46.0%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했는데, 남북 정상 신년사 발표, 대통령 신년 인사회 등에 따른 남북관계 개선을 비롯한, 2015년 국정에 대한 긍정적 기대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2014년 박근혜 대통령의 주간 기준 최고 지지율은 세월호 사고 직후 박 대통령이 사고 현장을 방문해 유가족들과 사고대책을 논의하는 장면이 보도된 4월 3주차 64.7%, 최저 지지율은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 청와대 문건 유출 사건으로 인해 검찰 수사가 본격화된 12월 2주차 39.7%로 기록됐다.

정당지지도에서는 새누리당이 40.3%, 새정치민주연합이 23.9%, 정의당이 5.6%의 지지율로 2014년을 마감했다. 새누리당은 전 주 대비 0.3%p 하락한 반면, 새정치연합과 정의당은 각각 1.2%p, 1.1%p 상승했다. 새누리당과 새정치연합의 격차는 16.4%p로 1.5%p 좁혀졌고, 무당층은 1.4%p 줄어든 29.5%로 조사됐다.

새누리당은 서울과 대전·충청·세종, 50대 이상, 남성, 사무직·노동직·농림어업, 보수·중도 성향의 유권자 층에서 오른 반면, 경기·인천, 20대와 40대, 여성, 가정주부에서는 내렸다. 새정치연합은 주로 서울과 대전·충청·세종, 50대와 30대, 남성, 자영업, 진보·중도 성향에서 올랐다.

2014년 새누리당의 주간 기준 최고 지지율은 세월호 사고 직후인 4월 3주차 53.4%, 최저 지지율은 세월호 유족들의 청와대 항의 방문이 있었던 5월 1주차 38.1%였다. 새정치연합의 최고 지지율은 창당 후 두 번째 주인 4월 1주차 33.4%, 최저 지지율은 세월호법과 관련해 당내 갈등이 증폭되었던 9월 4주차 18.0%로 집계됐다. 정의당의 2014년 최고 지지율은 7·30 재보궐 선거 직전인 7월 4주차 6.3%, 최저 지지율은 3월 4주차와 4월 1주차 0.8%로 나타났다.

이번 주간집계는 2014년 12월 29일부터 2015년 1월 2일까지(1월 1일 제외) 4일간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2,500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CATI) 및 자동응답전화(ARS) 방식으로 무선전화(50%)와 유선전화(50%) 병행 RDD 방법으로 조사했고, 통계보정은 국가 인구통계에 따른 성, 연령, 지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통계보정 이후 인구 구성비는 남성 49.6% 여성 50.4%, 20대 17.8% 30대 19.5% 40대 21.7% 50대 19.6% 60대 이상 21.4%,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2%p이다. [미디어펜=문상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