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수익성 개선 및 건전성 안정은 코로나 금융정책의 일시적 현상
비즈니스모델 한계‧디지털경쟁 심화로 구조적 도전 직면 불가피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국내 은행들이 지난해 코로나 위기에도 수익 개선과 건전성 안정을 거머쥐었지만 이는 정부의 금융정책이 빚은 일시적 현상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올해 은행들은 기성 비즈니스 모델의 한계와 디지털 경쟁의 심화로 구조적 도전에 직면할 거라는 전망이다.

7일 구본성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예금보험공사 계간지 ‘금융리스크리뷰’를 통해 ‘2021년 국내 은행 산업의 위험요인과 경영과제’에서 이같이 진단했다. 

   
▲ 시중은행 창구 /사진=연합뉴스 제공


구 위원은 지난해 국내 은행들의 실적 호조 배경으로 △통화당국의 적극적 금리인하 △재난지원금 지급 △예대율 완화 및 대출보증 확대 등의 정책대응으로 위기 대응력이 제고됐기 때문으로 평가했다. 은행이 추세적으로 실적을 개선하기보다 정책주도에 따른 일시적 현상이라는 분석이다. 

구 위원은 국내 은행들이 당면한 문제로 지난해 경영성과가 거시경제적 불확실성을 잘 반영하지 못했다는 걸 꼽았다. 급진적인 코로나 금융정책이 일시적으로 은행들의 실적을 개선시킨 것처럼 ‘착시’를 일으켰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구 위원은 “올 하반기 이후 코로나 위기의 출구전략이 적극 논의되면 실물경제와 금융시장, 금융시스템에 미칠 영향에 대해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코로나 백신효과에 힘입어 경기가 빠르게 회복되면 금리인상 및 인플레이션 등의 잠재적 위험을 조심해야 한다”고 평가했다. 

특히 금리인상은 가계대출의 부담을 증가시키는 한편, 기업 간 양극화 현상을 초래해 은행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핀테크와 빅테크 등의 디지털 혁신에 따른 경쟁구조의 변화도 은행들의 도전과제로 꼽혔다. 은행들이 디지털 혁신에 의한 새로운 영업기반 확보, 네트워크 재구축, 정보기반의 고도화 등으로 비용부담과 수익성 압박에 시달릴 거라는 분석이다. 

은행들이 전체 사업포트폴리오를 전환하는 등 사업모델을 전반적으로 재조정해야 한다는 의견도 내놨다. 앞으로 은행 예대업무는 생애에 걸친 자산관리 형태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 또 저축‧연금‧투자‧보장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역량은 디지털 금융기관과 경쟁해야 한다. 

사업모델이 재편되고 경쟁상대가 늘어나는 만큼, 은행들이 기존 사업모델을 전반적으로 재조정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은행 서비스는 주택‧신용대출 등과 같은 부채서비스 대신 신탁‧투자서비스처럼 부외자산을 확대하는 개인금융의 패러다임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은행들이 디지털기업의 자산관리서비스와 경쟁할 수 있는 자체 비즈니스 모델을 마련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또 가계금융의 감독 및 건전성 기준을 부분 강화하고 투자‧기업금융 중심의 중개기능을 높이는 쪽으로 건전성 규제를 전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구 위원은 “장기적으로 리스크 관리와 자본관리는 은행들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요인이 될 만큼 미래경영의 주요과제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