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보고 마무리한 뒤 대외 발표 및 가서명 추진"
[미디어펜=김소정 기자]제11차 한미 방위비분담특별협정(SMA) 체결을 위한 한미 간 회의 결과 "원칙적 합의에 이르렀다"고 외교부가 8일 밝혔다.
 
외교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이번 회의는 그간의 논의를 바탕으로 협의됐으며, 원칙적 합의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외교부는 이어 "한미 양측은 내부보고 절차를 마무리한 후 대외 발표 및 가서명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미 국무부도 성명을 내고 양국이 방위비분담 협상에서 원칙적 합의를 이뤘다고 밝혔다.

국무부는 합의안에 한국측의 '의미있는 증액'이 포함됐다고 전했다. 민주적 동맹 활성화와 현대화를 위한 바이든 행정부의 약속을 보여주는 것이라고도 했다.

   
▲ 외교부./사진=연합뉴스

코로나19 상황에서 1년만에 대면으로 개최된 이번 회의는 지난 5~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개최됐다. 

이번 협상에 우리측에선 정은보 한미 방위비분담협상대사, 미국측에선 도나 웰튼(Donna Welton) 미 국무부 방위비분담협상대표(정치군사국 선임보좌관)가 수석대표로 회의에 참석했다.
 
한미 정부 모두 구체적인 협상 내용을 밝히지 않았으나 '다년 계약'으로 체결됐을 가능성이 전망된다. 지난 7일(현지시간) WSJ는 한 외교 당국자를 인용해 "새 합의는 2026년까지 유효하며 한국 측 방위비분담금이 늘어날 것"이라고 보도했다.

외교가에선 '13%인상+5년계약'안이 조속히 타결될 것으로 예상됐지만, 협상이 길어지면서 우리 측 협상단의 귀국이 하루 미뤄졌다.

이번 회의는 지난달 화상으로 열린 8차회의 이후 한 달만에 대면으로 진행됐으며, 대면회의 개최는 1년만이다.

이번 협상 결과에 대해 외교부는 "정부는 조속한 협정 체결을 통해 1년 이상 지속된 협정 공백을 해소하고, 한반도 및 동북아 평화·번영의 핵심축인 한미 동맹과 연합방위태세 강화에 기여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