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안 따라, 인류의 발자취를 따라 걷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경기도 시흥시는 인천 소래포구와 마주보고 있는 월곶포구(月串浦口)부터, 오이도와 시화방조제를 지나 시화 멀티테크노밸리(MTV)까지 이어지는, 길이 15㎞의 해안선을 보유하고 있다.

월곶동(月串洞)에 있는 포구 월곶은 육지에서 바다로 내민 모습이 반달같이 생겼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며, 지역주민들은 ‘달월’이라고도 부른다.

조선시대에는 수군 만호(萬戶)가 설치됐던, 군사적으로 중요한 장소다. 

   
▲ 옥구공원에서 본 서해 바다/사진=미디어펜


지난 1992년부터 56만 4938㎡에 이르는 개펄 매립사업을 시작, 1996년 12월 말 공사를 끝내면서 횟집과 어물전 230여 곳을 비롯, 각종 위락시설이 조성됐고 이후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지역 시민들의 새로운 휴식터로 부상했다.

밀물·썰물에 관계없이 24시간 배가 접안할 수 있도록 설계돼 있기 때문에, 배가 들어올 때마다 어판장에서 즉석 경매가 이뤄져, 언제나 신선한 횟감을 맛볼 수 있다. 

부근에 있는 포동 폐염전(廢鹽田), 물왕저수지 등과 연계하여 관광하면 편리하다. 

월곶 바로 옆 ‘군자 매립지’에는 배곶 신도시가 조성 중이다. 배곳 신도시는 인천 송도국제도시 바로 맞은편에 있으며, 면적은 여의도의 2배 가까이 된다. 2000년대 이후 추진되는 신도시 사업 중,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한다. 

서울대학교 시흥캠퍼스가 들어설 예정으로, ‘배곳’이란 명칭은 1914년 주시경(周時經) 선생이 조선어강습원의 명칭을 ‘한글 배곧’이라 명명한 데서 비롯됐으며, 군자(君子)라는 한문 명칭과 어울리는 이름으로, 학문과 지성이 겸비된 글로벌 교육 도시를 지향한다는 의미라고 한다.

신도시를 지나면, 오이도로 이어진다.

오이도(烏耳島)는 시흥시 정왕동 서쪽 바닷가 지역으로, 원래 육지에서 약 4km 떨어진 섬이었으나, 일제강점기 때 갯벌을 염전으로 이용하면서 육지와 연결됐다.

오이도는 1448년 ‘세종실록’에 ‘오질이도’라는 이름으로 처음 등장하며, 그 명칭이 오질이도(吾叱耳島)-오질애도(吾叱哀島)-오이도의 순으로 변해왔다고 알려져 있다. 인근 옥구도와 함께 옥귀섬(玉貴島)이라고도 부른다. 

남북으로 길게 늘어진 모양으로, 전체가 해발 72.9m를 넘지 않는 낮은 산지로 이뤄져 있다. 

조선 초기에는 군사상 요지여서 봉화대를 설치했으며, 서해안에서 가장 규모가 큰 신석기 시대의 패총(貝塚. 조개무지)이 있다. 또 계절별로 철새가 찾아오며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는 넓은 갯벌이 있어, 훌륭한 생태문화탐방지로 각광받고 있다. 

주변 명소로는 오이도 패총, 시화방조제, 옥구공원 등이 있고 갯벌체험, 승선체험, 바다낚시 등을 경험할 수 있다.

시흥시는 이 바닷길 구간을 대한민국 대표 해안(海岸) ‘K-골든코스트(Korea-Golden Coast)’로 조성키로 했다.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도시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K-골든코스트의 주요 거점은 월곶 국가어항, 서울대 시흥캠퍼스, 경기경제자유구역, 배곧 생명·한울공원, 오이도 어항, 시화MTV ‘거북섬’, ‘시흥스마트허브’, ‘스마트시티’ 등이다. 경기경제자유구역(京畿經濟自由區域)으로 지정된 배곧 지역에는 무인 이동체 연구단지가 들어선다. 

특히 시화MTV 거북섬에는 세계 최대 규모의 ‘인공서핑 웨이브파크’를 중심으로, ‘아쿠아펫랜드’, 해양생태과학관 등이 건설된다. 시화호 북측과 남측 화성시 ‘송산그린시티’를 잇는 반달섬은 관광, 레저, 교통의 핵심 수혜지(受惠地)다.

오늘은 이 시흥의 바닷길을 걷는다. 서해안을 따라, 신석기시대 이후 인류(人類)의 발자취를 따라 걷는 시간이다.

   
▲ 오이도 신석기 유적 재현, 선사유적공원/사진=미디어펜


지하철 4호선 오이도역이 출발지점이다.

오이도역 2번 출구로 나오면, 오른쪽에 서 있는 시흥시 관광안내도가 반겨준다. 그 바로 위가 시흥시가 조성한 둘레길인 ‘늠내길’의 제4코스, 총길이 15km의 ‘바람길’이다.

가로수처럼 늘어선 소나무 숲 사이로 오솔길이 예쁘다. 그 길을 조금 걸으면, 철도차량기지 바로 앞에 전철 선로 밑을 통과하는 정왕 지하차도(地下車道)가 있다. 지하차도를 통해 반대로 나와, 작은 사거리에서 맨 왼쪽 소로를 따라간다.

비포장 길이지만, 대형 트럭들이 자주 달리는 위험한 도로다. 다행이 먼지는 별로 없다.

삼거리에서 왼쪽 길로 간다. 다음 삼거리에서 우회전, 언덕을 넘어가면 제법 넓은 저수지(貯水池)가 나타난다. 바로 ‘뒷방울저수지’다.

시흥시 정왕동에 있는 이 저수지는 원래 농업용수 확보를 목적으로 1984년 준공됐다가, 도심 낚시터가 됐다. 면적 약 100m²의 관리형 저수지로, 인근 지역 낚시꾼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유명 낚시터다. 

주로 붕어.잉어.준치.메기 등의 어종이 서식하고 있으며, 겨울철에는 송어(松魚)를 방류, 송어 낚시의 손맛을 즐길 수 있다. 특히 장대 낚시가 가능한 낚시터 중 하나다. 1급수 수질을 자랑하는 천연 낚시터이며, 배수기와 간수기에도 낚시가 가능한 전천후(全天候) 낚시터다.

시흥에는 ‘앞방울저수지’도 있다고 하는데, 뒷방울이 조금 더 크다고...시간이 좀 일러서인지, 낚싯대를 드리운 강태공(姜太公)은 보이지 않고, 호수와 낚시터는 적막하다.

오던 길을 되돌아 나와 삼거리에서 가던 방향을 따라 가면, 수인분당선 ‘달월역’이 있다.

그 오른쪽 산은 해발 260m의 만우봉이다. 높지는 않지만, 꽤 경사가 급하고 등산객도 좀 있는 편이다. 이 곳 등산로는 ‘솔빛길’이라고 부른다. 정상에선 뒷방울저수지가 잘 굽어보인다. 

하산길에는 ‘추억의 전봇대 쉼터’도 있는데, 콘크리트가 아닌 목재(木材) 전봇대다.

달월역은 월곶의 원래 이름답게, 월곶포구에서 지척이다. 그러나 포구까지 걸어가는 건 만만찮다. 역 앞 도로를 따라 직진, 언덕길을 올라가 제3 경인고속화도로(京仁高速化道路) 직전 작은 도로를 빙 돌아내려와, 두 번째 터널을 통해 고속화도로 밑을 통과해야 한다. 

벽화가 그려진 터널을 지나 ‘타이어뱅크’ 앞에서 우회전, 서해안로(西海岸路)를 따라 조금 가면, 월곶포구로 가는 도로가 있다. 하지만 월곶으로 가지 않고, 왼쪽 해변 산책로를 택했다.

곧 대형 갯골이 보인다. 썰물 때라, 바닷물은 거의 없다. 삼거리에서 오른쪽 해송십리로(海松十里路)로 간다. 왼쪽은 배곶 신도시 입구다.

이윽고, 월곶포구 맞은편 해변가 벤치에 앉아, 늦은 점심을 해결한다. 

갯벌 건너편에 월곶포구와 화신수산시장, 월곶종합어시장(月串綜合魚市場), 그리고 해양경찰서 월곶출장소 등이 보인다. 물 빠진 갯벌에, 소형 어선 몇 척이 한가롭다. 왼쪽 바다에서 조금씩, 밀물이 들어오기 시작한다.

관목(灌木) 줄기에 새 순이 돋고 있다. 진짜 봄이다. 뻘밭엔 오리들의 먹이활동이 한창이다.

다시 해변 공원길을 걷는다. 바다를 가로지르는 인도교인 ‘해넘이다리’ 건너편은 시흥 월곶이 아니라, 인천 소래(蘇萊)다. 

이 바닷가는 과거 해안방어를 위한 군 철조망과 경계초소들이 있던 곳이다. 지금도 유사시에는 예비군들이 투입될 것이다. 하지만 이 초소(哨所)들은 현재, 공원을 꾸며주는 조형물이다.

맨 먼저 ‘베토벤초소’가 나타난다. 

초소 지붕위에 ‘콩나물’ 같은 음표가 있고, 그 앞에는 지붕이 덮인 피아노 1대에, 관객들이 연주를 감상할 수 있는 의자와 광장까지 갖추고 있다. 마침 한 학생이 연주를 끝내고 일어서니, 어머니인 듯한 여성이 박수를 친다.

여긴 배곳 위인공원(偉人公園)의 일부다. 초소 시설을 활용, 볼거리로 꾸민 발상이 신선하다.

제3경인고속화도로의 군자대교가 바다를 시원하게 가른다. 바닷가 갈대밭 사이로 모처럼 나타난 흙길 소로가 반갑다.

갑자기 낯익은 시설물이 나타났다. 조선시대 대표 군함인 판옥선(板屋船)을 초소를 이용, 재현해 놓았다. 함선의 기본 형태에다 돛대를 세우고, 초소 위는 판옥선 2층이며, 북까지 매달아 놓아 사람들이 쳐볼 수 있게 했다. 필자도 잠시 조선의 장수가 되어, 북을 울려본다.

이 곳은 배곶 위인공원 중 이순신(李舜臣) 초소다.

그 왼쪽에는 ‘너와 나, 여기 배곶’이란 글자를 매단 조형물이 있다. 조금 더 가면, 산업혁명 때 증기기관(蒸氣機關)을 개량한 영국의 제임스 와트 위인공원이 나온다. 초소 양 옆에 기계를 상징하는 원형 조형물, 지붕 위에는 기차 지붕 같은 게 있고, 반대편은 어린이놀이터다.

바닷물 빠진 갯벌 위를 지날 수 있는, 돌로 쌓은 제방길이 보인다. 길 안쪽에도 밀물 때는 바다였음을 알려주는, 바닷물과 작은 게 같은 생명들이 기어 다닌다. 이 길을 걸어본다.

이윽고 장영실(蔣英實) 초소다. 그의 발명품을 상징하는 조형물이 초소를 감싸고 있다.

다음 위인공원의 주인공은 라이트형제다. 그들이 발명한 복엽기(複葉機)가 초소 위에 있고, 그 앞에는 뭉게구름을 상징하는 조형물들이 설치돼있다.

이어 세종대왕 초소다. 초소 벽에 훈민정음 글자들이 그려져 있고, 철책에는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에 나오는 ‘불휘 기픈 남간(나무는)’ 구절에다, 시흥을 상징하는 ‘늠내’를 붙여놓았다.

마지막 위인공원은 장애를 딛고, 위대한 성취를 이룬 미국의 헬렌켈러 초소다.

연못이 있는 배곳 생명공원(生命公園)을 지나면 해변공원도 끝이 나고, ‘한라비발디캠퍼스’ 아파트단지가 나온다. 여기서 좌회전, 도로로 나와 오른쪽으로 간다. 곧 옥구공원이 보인다.

왼쪽의 좀 높은 언덕이 바로 옥구공원이다. 정상에는 정자도 있다.

옥구공원(玉鉤公園) 넓이는 15만 7300㎡로, 서해안 매립지 한가운데 솟아 있는 해발 95m의 옥구도에 조성됐다. 1995년 10월 20일 공원으로 지정돼, 2000년 12월 10일 개원했다. 해양생태공원, 산책로, 수목원, 민속생활도구전시관 및 정자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논 가운데로 난 징검다리를 건너면, 곧 공원 입구다. 등산로와 정자, 벤치 등이 잘 정비돼있고, 억새동산과 무궁화동산도 있다. 조금 오르면, 거대한 암반(巖盤) 위로 정상이 보인다.

정상은 ‘옥구정’이다. 정자에 서면, 눈앞에 매립지와 드넓은 갯벌 너머, 서해바다가 손에 잡힐 듯하다. 뒤쪽은 시화국가산업단지(始華國家産業團地)와 아파트들이다. 두 지역을 가르는 녹색 벨트가 ‘곰솔누리숲’인데, 이름처럼 곰솔 숲이다. 높지는 않아도, 조망은 그만이다.

다시 해안길로 내려와, ‘배곳 한울공원’을 지난다.

갯벌 사이로, 바닷가에 툭 튀어나온 곳이 ‘덕섬’이다. 이름처럼 원래 섬이었지만, 지금은 간척 사업으로 육지가 됐다. 

덕섬은 ‘똥섬’이라고도 한다. 갈매기를 비롯한 새들이 섬에 날아와 똥을 많이 눈다는 데서, 똥섬이라 부르게 되었다고도 하고, 밀물 때 바닷물이 섬을 둘러싸는데, 그 모양이 마치 사람이 배설한 똥처럼 생겼다는 데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하지만 사유지(私有地)인 덕섬의 주인이 ‘어감’이 좋지 않다며, 덕도 또는 덕섬으로 바꿨다. 섬 안은 음식점과 위락시설이 들어서 있고, 파도에 깎여 생긴 해식동(海蝕洞) 동굴 두 개도 있다.

이제 본격적인 해안제방길이다. 위는 보행로, 중간에 자전거길이 있다. 

바로 오이도 입구다. 해안가 길게 돌출된 배다리 선착장(船着場)을 지나면, 오이도에 이른다.

가족, 연인, 친구들이 주말은 물론 평일에도 많이 찾는 시흥의 대표 관광명소, 오이도는 ‘황새바위’에서 시작된다. ‘사랑의 자물쇠’를 수없이 많이 매단 황새바위 조형물은, 머리에 황새 한 마리를 이고 있다. 토요일 오후라, 관광객들이 아주 많다.

직사각형 모양으로 바다 쪽에 튀어나와 있는 해변산책로는 ‘여의도 오션프런트’라는 별칭이 있다. 김소월, 한용운, 윤동주 등 유명한 시인들의 시 작품이 새겨진 안내판들이 있다.

그래서인지, 옛 시인(詩人)의 산책길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앞쪽에 ‘생명의 나무’ 전망대가 보인다. 

높이 8.2m, 지름 15m의 전망대는 스테인레스 스틸관 용접 위에 우레탄을 칠했다. 전체적으로, 큰 나무의 형태다.

부두 안쪽이 오이도 지방어항(地方漁港)이다. 썰물 갯벌 위로 작은 고갯배 2척이 누워있다.
오이도의 상징, ‘빨강등대’가 반겨준다.

빨강등대는 관광소득 증대를 위해 해양수산부(海洋水産部)의 ‘어촌체험 관광마을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2005년 건립된 해양관광 기반시설이다. 등대 높이 21.4m, 전망높이는 14.4m다. MBC 드라마 ‘여유야 뭐하니’의 촬영장소로 더욱 유명한, 시흥시의 대표 상징물이다.

선착장을 지나, 길게 방파제가 뻗어 있다. 그 길로 들어섰다. 선착장 안에는 수산물직판장(水産物直販場)이 있다. 쇼핑하는 사람들이 참 많다. 필자도 굴구이 1만원 어치를 샀다.

한쪽에서 어촌체험마을 티켓을 판다. 조개 캐기, 썰매체험, ‘갯벌축구’와 발야구, 공예체험 등이 주 메뉴. 체험장 남녀 탈의실, 샤워장도 있다.

다시 해안길을 걷는다. 왼쪽에 종합어시장과 칼국수, 회 등을 파는 음식문화의 거리가 보인다. 

한 쪽에 낯선 탈 것이 있다. 오토바이에 경운기 짐칸을 붙여놓은 듯한 삼륜차(三輪車)가 끄는, 오이도의 또 다른 명물 ‘깡통열차’다. 객석은 위쪽을 파낸 드럼통 두 개를 붙여놓고, 그 안에 의자를 놓았다. 그리고 바퀴가 2개. 그런 차들 4~5칸 정도가 같이 다닌다.

둑 아래, 유원지에서 흔히 보이는 배 모양의 180도 회전 놀이기구도 보인다. 

바다 풍경과 해돋이, 해넘이를 감상할 수 있는 ‘선셋 데크’는 국토교통부(國土交通部)의 ‘도시활력증진 지역개발사업’ 지원을 받아 조성된 것이다.

해변길 남쪽 끝에는 ‘노을의 노래’ 전망대가 있다. 높이 6.7m, 지름 15m로, 역시 국토부 지원을 받은 것이다. 둥근 큰 원판을 이고 있다. ‘WIND-HUMAN’라는 강성훈의 작품으로, 남녀의 형상으로 바람을 표현했다고 한다.

석양(夕陽)의 낙조(落潮)가 아름답다.

여기서 좌회전해 조금 걸으니, 함상전망대(艦上展望臺)가 나타났다.

함상전망대는 2009년 퇴역한 해양경찰 경비함 ‘해우리 12호’를 개조한 것이다. 길이 47.75m, 너비 7.1m의 250톤의 강철선이다. 맨 위 3층엔 해경 홍보실도 있다.

산책로 끝은 낮은 언덕이다. 해안도로를 계속 따라가면, 시흥오이도박물관과 전망대가 있다. 하지만 시간이 늦어 포기하고, 마을길로 내려섰다. 시흥오이도 선사유적공원(先史遺蹟公園)으로 가기 위해서다.

물어물어 길을 찾아, 동네 오른쪽 야산을 넘었다.

잔디광장을 지나니, 선사유적공원이 내려다보인다. 신석기시대(新石器時代) ‘움집’을 재현한 건물들, 신석기인들이 야생동물을 사냥하는 조형물들이 보인다. 복원한 우물과 물길에서, 신석기 마을은 시작된다.

가옥은 사각의 흙벽과 초가지붕, 원뿔 모양의 초가집들이다. 

원뿔형 나무 골조 안에서, 한 신석기 여인이 석기로 무언가를 자르고 있다. 그 옆에는 나무를 쌓아놓고 음식물을 담은 토기(土器), 즉 ‘빗살무늬토기’를 세워놓은 채, 한 남자가 불을 피운다. 그 반대편에선 원시적 농기구로, 밭갈이 하는 사람들을 재현해 놓았다.

더 안쪽에는 당시의 뗏목으로 추정되는 것 위, 아주 큰 나무에 밧줄을 감아놓았다. 제법 큰 움집 안을 들여다보니, 모닥불 옆 남자는 낚싯줄 같은 걸 들고 있고, 여자는 바느질을 한다.

그 집 뒤에는 사람들이 모여 앉아, 모닥불에 조개를 구워먹는다. 그들 뒤에, 먹다버린 조개껍질이 쌓여있다. 바로 조개무지, 패총이다.

언덕 위에는 오이도 패총과 패총전시관(貝塚展示觀館), 전망대 및 ‘선사마당’ 등이 있다.

다시 언덕을 넘어, 동네로 내려왔다. 주택가를 가로질러, 해변 음식문화의 거리로 나왔다. ‘금강산(金剛山)도 식후경(食後景)’이다. ‘해물 바지락칼국수’를 시켰더니, 양이 엄청나다. 보리비빔밥은 서비스. 소주 1병을 곁들였지만, 절반은 남기고 말았다.

그 앞에서 시내버스를 타면, 오이도역으로 돌아올 수 있다. 다만, 버스 배차간격이 긴 편이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