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서울 아파트값이 진정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4 주택 공급대책에 따른 공급 확대 기대감에 매수심리가 꺾이고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승, 공시가격 인상에 따른 세금 부담까지 가시화하면서 매수 우위 시장이 변화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 항공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전경 ./사진=미디어펜


21일 국토교통부의 부동산 실거래정보에 따르면 2·4 공급대책 이후 서울의 아파트 거래 중 직전 거래 대비 가격이 하락한 거래가 증가하는 추세다. 

직전 거래보다 가격이 하락한 거래 건수는 지난 1월 18.0%(전체 2441건 중 493건)에 불과했으나 2월 24.9%(1669건 중 415건)로 늘었다. 이달 들어서는(17일 기준) 38.8%(281건 중 109건)로 집계됐다. 

실거래 가격 하향 단지는 강남권뿐 아니라 서울 전역에서 속속 등장하고 있다.

재건축 대표 단지로 꼽히는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전용면적 84㎡의 경우 가장 최근인 이달 2일 23억2000만원(6층)에 손바뀜됐다. 바로 직전 거래일(지난달 24일)에 24억5000만원(6층)에 매매된 점을 고려하면 1억3000만원 낮은 수준이다.

서초구 서초동 서초5차e편한세상 158.2㎡ 역시 이달 3일 18억3000만원(7층)에 매매됐다. 직전인 지난 1월 20일 20억원(2층)보다 1억7000만원 낮은 가격에 거래가 이뤄졌다.

용산구 문배동 용산KCC웰츠타워 84.0㎡도 이달 8일 10억6000만원(14층)에 매매됐다. 가격 상승이 한창이던 작년 말(12억2500만원)보다 가격이 1억6500만원 떨어진 셈이다.

노원구 상계동 상계주공7차(고층) 45.9㎡의 경우 이달 12일 5억5000만원(12층)에 계약서를 써 직전 거래인 1월 27일 6억2000만원(13층)보다 7000만원 내려갔다.

서울의 아파트값 진정세는 실거래가뿐 아니라 각종 통계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의하면 서울의 아파트값은 2·4 대책 발표 직전인 2월 첫째 주 0.10% 올라 올해 최고 상승률을 기록한 뒤 6주 연속(0.09%→0.08%→0.08%→0.07%→0.07%→0.06%) 상승 폭이 둔화했다.

매수심리 또한 이달 들어 진정되는 분위기다.

KB 부동산의 매수우위지수는 이달 1주 96.2로 올해 들어 처음 100 아래로 떨어진 뒤 2주 90.3, 3주 82.4로 3주 연속 100 미만을 기록했다. 이 지수가 100을 넘기면 매수자가 많다는 것을, 100 미만이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정부의 잇따른 공급대책으로 공급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확산하면서 매수 심리가 안정되며 집값도 안정세로 전환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미디어펜=온라인뉴스팀]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