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동은 기자]지난달 서울과 수도권 주택 매매가격·전셋값 상승폭이 줄면서 부동산시장 안정에 대한 기대감이 나왔다. 다만 시장에 관망세가 지속되고 있고, 공급대책에 따른 물량이 실제로 시장이 공급되기 전까지는 ‘안정’을 논하기에는 이르다는 지적이다.
|
|
|
▲ 서울 시내 아파트 전경/사진=미디어펜 |
3일 한국부동산원의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주택종합 매매가격은 0.74% 올랐다. 2월(0.89%)보다 상승폭이 줄었다. 해당 조사는 2월 16일부터 3월 15일까지의 변동을 반영한 결과다.
서울의 경우 0.38% 올라 2월(0.51%)보다 상승폭이 줄었다. 지역별로는 노원구(0.68%)가 역세권, 도봉구(0.55%)가 교통 및 개발호재 지역, 마포구(0.35%)가 역세권 위주로 올랐다. 강남권에서는 서초구(0.46%)가 대단지, 강남구(0.45%)가 정비사업 진척 기대지역 위주로 상승했다. 송파(0.45%)·강동구(0.31%)는 중저가 단지 위주로 올랐다. 전반적으로 서울은 매수세가 감소하고 관망세를 보이며 상승폭이 축소됐다는 평가다. 반면 인천은 교통호재 등으로 1.31% 올라 2월(1.16%)보다 상승폭이 확대됐다.
지방 주택 매매가격은 0.53% 오르면서 상승폭이 전월(0.64%)보다 축소됐다. 5대 광역시(1.00%→0.77%)와 세종(0.87%→0.68%)도 상승폭이 줄었다. 지역별로 대전(1.18%)은 교통호재 있거나 거주여건이 양호한 지역, 대구(1.11%)는 교육 및 주거환경 양호지역 위주로 올랐다.
부동산원은 “2·4 공급대책 발표 이후 서울과 경기는 중장기 시장안정 전망 활대, 공급대책 기대, 미국 국채금리 및 시중금리 인상, 보유세 부담, 30대 이하 매수 감소 등으로 매수세가 감소하면서 전반적으로 상승폭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전국 주택 전세가격도 상승폭이 줄었다. 지난달 전셋값은 0.46% 올라 2월(0.64%)보다 상승폭이 축소됐다. 수도권(0.72%→0.51%)과 서울(0.42%→0.29%), 지방(0.58%→0.41%) 모두 상승폭이 축소됐다.
서울은 역세권, 학군 등 정주여건이 양호한 중저가 단지 위주로 상승했지만, 매물 누적과 계절적 비수기 등으로 상승폭이 줄었다. 강북권에서는 노원구(0.53%)가 교통여건 양호한 상계·월계동 중저가 단지, 성북구(0.37%)가 정주여건 양호한 길음·돈암동 주요 단지, 동대문구(0.30%)가 이문동 역세권과 장안동 중저가 단지 위주로 올랐다. 강남권에서는 동작구(0.38%)가 교통여건 양호한 사당동과 정비사업 기대감 있는 본동 구축 위주, 강남(0.33%)·서초(0.33%)·송파(0.32%)가 정비사업 이주수요 있는 지역과 학군 또는 정주여건 양호한 지역 위주로 상승했다.
경기(0.56%)는 정주여건 또는 교통개선 기대감 있는 시흥·의왕·평택시 위주로, 인천(0.95%)은 역세권 또는 교통환경 개선 기대감 있는 신축 위주로 올랐다. 지방에서는 대전(0.88%)이 유성·서구 등 정주여건 양호한 지역, 대구(0.78%)가 정비사업 이주수요 있는 지역이나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지역, 세종(0.66%)이 행복도시 인근 지역에서 매매가격과 동반해 올랐다.
[미디어펜=이동은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