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이상일 기자] 20여개에 달하는 긴급신고전화가 119·112·110 3개로 통폐합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해양사고 신고전화인 122는 세월호 참사의 영향으로 존치 가능성도 있다.
16일 국민안전처에 따르면 지난해 6월부터 추진된 긴급 신고전화 통폐합 작업이 최종 발표만 남은 상황이다.
|
|
|
▲ 지난달 10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국민안전처 주최로 열린 '긴급신고전화 통합방안 마련을 위한 공청회'가 열리고 있다./뉴시스 |
현재까지 알려진 방안은 화재와 구조·구급은 119, 범죄신고는 112, 생활 민원이나 상담은 110으로 통폐합하는 것이다.
다만 해양사고 신고전화인 122는 세월호 참사에서 보듯 전문성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아 그대로 사용할 가능성이 높다. 일상생활 안전과 거리가 있는 111 간첩신고전화 역시 존치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122의 존치에 대해 실효성 논란이 커 향후 어떤 결정이 내려질지 지켜봐야 하는 상황이다. 또 기존 학교폭력(117)이나 청소년 상담(1577-1389, 1388)의 경우 110으로 전화하면 ARS(자동응답)를 거쳐 관련 기관으로 연결해 주는 방식도 고려하고 있다. 이 경우 반대로 기존 번호로 전화해도 통화할 수 있다.
특히 학교폭력과 노인 학대가 발생했을 때 긴급 상황은 112, 상담이 필요할 경우 110으로 전화하도록 할 방침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12월10일 긴급 신고전화 통합방안 마련 공청회에서 112와 119중 하나로 긴급 신고전화를 통합하려 했다. 하지만 국민의 99% 이상이 두 번호를 구분해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 번호들을 그대로 사용하기로 입장을 바꿨다.
안전처 관계자는 "아직 긴급 신고전화 통합방안이 확정되지 않았다. 해양신고 전화 122가 폐지된다고 보도됐지만 사실이 아니다"며 "ARS방식도 지난해 공청회에서 논의된 것일 뿐 구체적으로 결정된 것은 아니다. 이달 중 구체적 내용을 확정한 뒤 공식적인 방침을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안전처는 이르면 다음 주 중 긴급 신고전화 통폐합방안을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