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업엔 대체 어려운 첨단산업.내수 수출에 '기회'...중간재 수요는 줄 듯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대한 '제어'를 바탕으로, 경기회복에서도 상대적 우위를 보이고 있는 중국은 중.장기 성장동력 확보노력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른바 ‘쌍순환 전략’의 양대 핵심인 소비 장려, 지속가능 성장을 위한 첨단제조업 강화가 그것이다.

이런 중국정부의 정책방향이 한국기업에게는, 중국의 대체가 어려운 첨단산업 및 내수 품목에 '수출 기회'가 될 전망인 반면, 기존 주력 수출품인 중간재의 수요는 줄 것으로 예상된다.

   
▲ 중국 위안화 지폐/사진=연합뉴스


중국정부는 오는 16일 1분기 경제성장률, 3월 산업생산.소매판매.고정자산투자 등 실물지표들을 줄줄이 발표할 예정이다.

1분기는 지난해 코로나19 충격에 따른 '기저효과'가 집중되는 시기여서, 이번에 공개되는 지표들도 이 효과가 반영돼, 평균 수준을 훨씬 상회하는 우수한 실적이 기대된다.

전문가들은 앞으로도 중국의 제조업 경기는 양호한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한다.

3월의 각종 지표 및 수출의 안정적 증가 등은 수요 회복을 반영하며, 미국의 추가 부양책과 여타 국가들의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따른 봉쇄강도 완화 등을 감안하면, 향후에도 중국 제조업 경기 호조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

이에 따라 중국정부는 최소한의 정책 여력만 단기 성장에 투입하고, 나머지는 안정적인 중.장기 성장동력 확보에 집중할 것으로 관측된다.

쌍순환 전략의 핵심인 소비를 장려하고, 지속가능한 성장의 축인 첨단제조업을 강화하려는 시도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인다.

임혜윤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이게 시사하는 바는, 미 달러화 강세 기조 하에서도 위안화 약세 폭은 제한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라며 "구매력 보전과 자본 유입을 위해서는 위안화 가치가 유지되는 것이 유리하고, 과거보다 위안화 절하를 유도할 필요성도 줄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미-중 갈등 심화는 불가피하다.

중국은 정부 주도의 첨단산업 육성을 지속할 것인 반면, 미국은 중국과의 경기 격차 유지 및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위해 다방면으로 중국을 고립시키고자 할 것이며, 양국 갈등은 '패권경쟁' 형태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이런 중국의 정책방향은 우리나라의 수출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견된다.

임 연구원은 "우리 기업들의 대 중국 수출 측면에서 보면, 한국의 기술력이 뛰어나 대체가 어려운 첨단산업과 내수 관련 품목에는 기회가 될 수 있고, '가공무역'에 활용되는 중간재 수요는 점차 줄어들 경우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