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오염수 방류시 日6개현 기항 자제…방사능 검사정보 투명 공개"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 방출 결정과 관련, 해양수산부는 주요 해역에 대한 방사성물질 조사를 확대하고, 수산물 원산지 위반 단속 강화 등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박준영 해양수산부 차관은 13일 "해양환경 보호와 수산물 안전 관리를 중심으로, 필요한 조치를 다할 계획"이라며, 이렇게 밝혔다.

박 차관은 이날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고 "정부는 국민의 건강에 위해를 끼칠 수 있는 어떠한 조치에도 타협하지 않을 것이며, 국민의 안전을 최우선 원칙으로 하겠다"고 말했다.

해수부는 우선 올해 동·남해와 제주도 등 13개 주요 해역에 대한 해양 방사성물질 조사 횟수를 4회에서 6회로 늘릴 예정이다.

일본에서 기항하는 선박이 일본 해역에서 평형수(선박 복원성 확보를 위해 선체 좌우에 싣는 바닷물)를 싣고 국내로 입항하는 상황을 철저히 관리, 평형수에 섞인 오염수가 우리 바다에 직접 배출되지 않도록 통제하겠다는 것.

   
▲ 박준영 해양수산부 차관/사진=해수부 제공


해양방출이 실제로 진행되면, 후쿠시마와 인근 미야기·아오모리·이와테현 등 모두 6개현 17개 항만에 대해, 우리 선박의 기항을 최대한 자제하고, 기항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우리 영해 수역 바깥에서 평형수를 교환한 후 입항토록 할 계획이다.

박 차관은 수산물 안전과 관련해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 해양경찰청, 지방자치단체 등 관계기관과 협력, 철저하게 수산물에 대한 안전을 관리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오염수 유입 우려가 있는 해역과 원양산 수산물에 대한 방사능 검사를 확대 시행하는 방안도 관계부처와 적극 협의하겠다"고 피력했다.

또 "원산지 표시 위반 적발 실적, 소비자 민감도가 높은 수산물 등은 중점 품목으로 지정, 연중 집중적으로 단속하고, 위반 시 강력하게 처벌하겠다"고 강조했다.

해수부는 현재 후쿠시마와 인근 8개 현의 모든 수산물 수입을 금지하고 있으며, 일본 내 나머지 국내에서 생산되는 꽁치, 미역 등 수산물 40종에 대해서도 매년 2000건 이상 방사능 검사를 진행하고 있는데, 올해에는 모두 3000건 이상으로 검사를 규모를 확대할 방침이다.

원산지 단속 민간 명예감시원을 확대하고, '수산물 유통이력제' 역시 강화, 먹거리 안전성 확보에 힘쓰기로 했다.

박 차관은 "오염수로 인한 막연한 불안감 또는 부정확한 정보 등으로 인해, 안전한 우리 수산물의 소비가 위축되지 않도록 수산물 소비대책 마련도 추진해 나가겠다"고 힘주어 말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가뜩이나 위축된 수산물 소비에 '엎친 데 덮친 격'이 되지 않도록 하겠다는 것.

그는 "정확하고 검증된 정보만을 알기 쉽게 해양수산 종사자 여러분과 국민께 신속히 알려 나가겠다"면서 "소비자가 원산지를 믿고, 소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역설했다.

아울러 코로나19 상황에서 우리 수산물 상생할인 지원사업의 적극적 추진, 로컬매장 입점 지원, 온라인.홈쇼핑 비대면 판로 확대에도 적극 나선다.

원전 오염수 방출이 국내 해역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해서는 "오염수의 해양환경 영향을 정밀하게 예측·분석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박 차관은 "방사능 검사와 관련된 해양환경 모니터링 결과, 선박평형수 검사 결과, 수산물 방사능 검사 결과 및 원산지 단속 적발 현황 등을 통합 홈페이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해 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 약속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