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탄소중립 기술혁신 위한 ‘R&D 라운드테이블’ 개최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에너지 연구개발(R&D) 분야 민·관 소통채널인 ‘R&D 라운드테이블’을 구성, 23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첫 회의를 개최했다.

R&D 라운드테이블은 정부, 공공기관, 산·학·연 전문가 등으로 구성됐으며, 정부의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공유하고, 탄소중립 실현에 필요한 에너지 R&D 관련 정책과제를 논의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 산업통상자원부 로고./사진=산업부 제공


산업부는 이번 회의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에너지 R&D가 나가야 할 방향과 기술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제도 개선방안 등을 민·관이 함께 논의하는, ‘소통채널’이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주요 논의 내용으로는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 R&D 추진전략 ▲산업 분야의 탄소중립 추진방향 및 혁신 사례 ▲탄소중립 R&D를 위한 개방데이터 구축 사례 등으로, 참석자들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서는 획기적인 기술혁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에 뜻을 함께 했다.

이미 탄소중립을 선언한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등도 탈(脫)탄소 산업·에너지 구조로의 전환을 위한 기술개발 투자에 적극 나서는 중으로, 미국은 향후 8년간 탄소중립을 위한 전력 인프라에 1000억 달러, 전기자동차 확산에 170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또한 기술개발을 장려하고, 기술 수요자인 산업계의 적극적인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R&D와 관련된 정책·제도가 이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개선될 필요가 있는 만큼, 이날 논의된 과제들은 탄소중립 기술로드맵 등에 적극 반영될 예정이다.

주영준 산업부 에너지자원실장은 “혁신기술 확보가 탄소중립의 성패를 결정할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과감한 기술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민·관이 합심, R&D 정책과 제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