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사업 유기적.통합적 운용, 지원정책 식생활 교육과 연계해 제공해야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최근 유엔 식량농업기구(FAO)는 전 세계 인구의 10분의 1 수준인 7억 5000만명이 심각한 '식량불안'(Food Insecurity)에 노출되고 있으며, 약 20억명은 중증도 식량불안에 처했고, 이들은 주로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에 집중돼 있다고 경고했다.

더욱이 식량불안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포함, 고소득 국가에도 존재한다며, 지난 2017~2019년 북미 및 북유럽 인구의 약 8%인 8천 800만 여명이 이를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 심화로, 일자리 및 소득 감소 등이 세계적 식량 및 영양 안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우려했다.

이에 선진 각국도 정책 대응에 나섰고,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다.

   
▲ 친환경농산물/사진=친환경농산물자조금 제공


한국은 지난해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해 '농식품 바우처 지원 프로그램' 실증사업을 도입, 저소득층에게 채소와 과일 및 우유, 계란 등 신선 농식품을 구매할 수 있는 바우처(전자카드)를 지원하고 있으며, 저소득층 가정 학생들에게는 학교에서 우유를 제공한다.

또 성장기 초등학생들에게 방과 후 수업 시, 과일간식을 5200개 학교에서 24만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원하고 있다.

아울러 임산부, 가구 소득이 중간 기준의 80% 이하이고 건강상 위험 가능성이 있는 6세 미만 유아에게는, 월 2회 친환경농산물 꾸러미와 방문 교육 등 맞춤형 영양교육을 제공 중이다.

이와 함께 계층별 소비자 패널 조사와 더불어, 소비자들이 온.오프라인에서 구매한 농식품에 대한 정량 정보를 취합, 심층 분석하는 '소비정보분석사업'을 작년에 도입했다.

이를 통해 관련 빅데이터들이 축적되면, 국내 소비자들의 농식품 소비 패턴의 변화와 사회경제적 요인이 이 패턴에 미치는 영향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농식품정책 수립을 계획하고 있다.

이에 대해 OECD는 '사회경제적 및 인구통계학적 요인이 식량안보와 영향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한국도 취약계층의 식량불안을 해결하기 위해, 각 국에서 실시 중인 식량지원 정책들에서 모범 사례를 공유하고 확산시킬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새로 추진되는 사업들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성과를 바탕으로, 각 사업들이 유기적이고 통합적으로 운용될 필요가 있다고 권했다.

OECD는 "특히 지원정책을 반드시 식생활 교육과 연계, 취약계층이 건강한 식품을 선택하는 등, 식량불안 상태에서 영구적으로 벗어날 수 있도록 추진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