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김영민 미디어펜 산업부장 |
[미디어펜=김영민 산업부장]인터넷TV(IPTV)에서 tvN, 올리브, 엠넷, 투니버스 등 CJ ENM이 제공하는 채널의 실시간 방송이 중단될 위기에 놓였다. CJ ENM과 IPTV 사업자들이 사용료를 놓고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면서 결국 '송출 중단'이라는 극단적인 사태를 맞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일부 통신사는 자사 IPTV에서 오는 11일부터 CJ ENM 채널 서비스가 종료될 수 있다는 안내까지 하고 있다. 현재 양측의 협상이 전혀 진전을 보이지 않고 있는 상황이어서 조만간 송출 중단이 현실화되고 심지어 장기화될 조짐도 보인다. 또 IPTV 사업자들의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에서도 CJ 채널 서비스가 중단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의 갈등은 CJ가 사용료를 전년 대비 25% 올리겠다고 하면서 시작됐다. 그동안 매년 10% 안팎 수준에서 인상폭을 정해왔으나 올해는 CJ가 기존 대비 2배가 넘는 급작스럽고 과도한 요구를 하고 있다. CJ는 또 유료방송 프로그램 사용료와 모바일 플랫폼 사용료를 따로 분리해 계약하지 않으면 콘텐츠 공급을 중단하겠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다.
CJ의 사용료 인상 요구는 종전과 비교해 플랫폼별로 적게는 2~3배에서 많게는 10배가 많은 수준이다. 특히 CJ는 IPTV 사업자들과의 원만한 해결보다는 국민을 볼모로 잡을 수 있는 '송출 중단' 카드로 위협하며 시장의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과거에도 지상파TV 방송사들이 케이블TV 사업자들과 사용료를 놓고 갈등을 벌인 적이 있다. 당시에도 지상파 송출이 중단되면서 케이블TV 가입자들이 피해를 보기도 했다.
CJ ENM의 25% 인상 이유는 이렇다. 그동안 자사 콘텐츠가 저평가 됐고 앞으로 채널 영향력과 콘텐츠 투자를 위해 더 높은 인상률을 적용하겠다는 것이다. 배경은 이해가 가지만 유료방송 생태계의 현실을 고려하지 않은 무리한 요구라는 점에서 대형 콘텐츠 사업자의 갑질이라는 지적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또한 CJ는 인기채널인 tvN 이외에 시청률이 떨어지는 다른 채널들을 끼워넣기식으로 패키지로 판매한다. 전형적인 갑질이 아닐 수 없다. 대형 콘텐츠 사업자라는 지위를 이용해 유료방송 시장의 생태계를 혼탁하게 하는 행위다.
CJ의 갑질은 여기에만 그치지 않는다. 자사 OTT 사업을 키우기 위해 IPTV에만 상대적으로 비싼 사용료를 요구하고, 다시보기(VOD)도 자사 OTT에서만 볼 수 있도록 제한하고 있다. 최근 모바일을 통해 유료방송을 시청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자 모바일 플랫폼에 대한 사용료를 더 큰 폭으로 올리겠다며 몽니를 부리고 있다.
CJ의 무리한 사용료 인상 추진은 유료방송 시장의 갈등을 초래하고 중소 콘텐츠 사업자들의 생존을 위협한다. 또 그 여파는 지상파 등으로 확산돼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유료방송 시장이 요금 문제에 휩싸일 수 있다. 이는 소비자와 중소 콘텐츠 사업자들에게 전가될 것이 뻔하다.
CJ가 단기적으로 국민을 볼모로 더 많은 수익을 낼 수 있겠지만 결국 똑똑한 소비자들은 등을 돌리기 마련이다. 현재 국내 콘텐츠 시장은 넷플릭스, 디즈니 등 외산 OTT들이 속속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언제든 떠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아울러 CJ라는 대형 콘텐츠 사업자가 자사 OTT 등을 위해 타 플랫폼과 차별적인 대우를 하는 것은 명백한 불공정한 행위다. 유료방송 생태계를 더 키우기 위해서는 앞으로도 콘텐츠와 플랫폼이 동반 성장을 통해 상생해야 한다.
IPTV 사업자의 수신료 매출 중 절반 정도가 콘텐츠 사용료로 나가고 이중 상당수를 대형 콘텐츠 사업자인 CJ가 챙긴다. 결국 서로 공생하면서 시장을 안정·확대 시키는 것이 국내 유료방송 산업 경쟁력을 제고하는 동시에 콘텐츠 경쟁력까지 키우는 해법이다.
아울러 대형 콘텐츠 사업자에게 사용료 수익이 쏠리게 되면 중소 사업자들은 생존 위협을 받아 유료방송 생태계의 마비가 올 수 있다.
지금이라도 CJ ENM은 IPTV 사업자들과 원만한 협상을 통해 국민들의 시청권을 보장하고 나아가 유료방송 시장 상생의 길을 마련하는데 힘을 써야 한다.
[미디어펜=김영민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