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정부가 오는 2030년까지 국내 자동차 부품기업 1000개를 전기·수소차 미래차 부품기업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각종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하반기 중 'K-반도체 인프라 확충을 위한 사업 2개의 예비타당성조사(예타)도 추진한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0일 서울 종료구 정부서울청사에서 '혁신성장 BIG3 추진회의'를 열고 "자동차 부품산업 생태계를 미래차 중심으로 신속히 전환, 미래차 시장 및 소재·부품 신시장을 선점하는 것이 매우 긴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부품기업 사업재편 컨설팅과 사업화 지원, 부품기업과 스타트업을 발굴·연계하는 스마트 브릿지(Smart Bridge) 프로젝트 운영 등을 통해 매년 100개, 2030년까지 1000개 기업을 미래차 부품기업으로 전환하겠다"고 말했다.
|
|
|
▲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사진=기재부 제공 |
홍 부총리는 "전기차, 자율주행 등 완성차사 미래투자 계획과 연계한 부품·소재 개발, 차량용 반도체 등 전략품목 등 신사업모델 발굴을 집중 지원하겠다"며 "글로벌 신흥 미래차 기업 대상 마케팅 강화 등을 통해, 오는 2030년까지 1000만 달러 수출기업 250개를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5000억원의 미래차 관련 펀드를 활용해 미래차 전환 연구개발(R&D) 및 투자를 지원하고, 부품 성능과 주행 데이터를 축적·공유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2027년까지 1만명 전문인력을 양성하겠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오는 9월 말까지 부품기업 디지털 전환 지원 종합계획도 수립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반도체 빅사이클을 기회로 종합반도체 강국 도약을 위해서는, 기업의 대규모 시설 투자와 연계된 재정사업도 이에 맞춰 신속하게 추진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며 "하반기 중 'K-반도체' 인프라 확충 사업 2개의 예타를 추진할 것"이라고 피력했다.
하반기에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클러스터 내 양산형 테스트베드 구축, 중부권 첨단패키징 플랫폼 구축 등, 2개 인프라 확충 사업에 대한 신규 예타를 추진한다.
민관공동투자 대규모 인력 양성 사업과 더불어 예타가 진행 중인 PIM(연산+저장기능 통합) 인공지능 반도체 기술개발, K-sensor 기술개발 등 3개의 성장기반 강화사업에 대한 예타도 신속히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