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등 한은 인사들의 기준금리 인상 관련 발언들이 잇따르면서, 우리나라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고, 미국에 앞서서 연내 혹은 내년 초에 '선제적 금리인상'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한은이 연내 금리인상을 단행할 경우, 지난 2018년 11월 이후 3년 만에 첫 금리인상이 된다.
이에 따라 코로나19 여파가 아직 남아 있는 상황에서의 금리인상이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 지, 귀추가 주목된다.
그동안 지난 2000년 이후 금리를 지속적으로 인상한 시기였던 2005년 1월~2008년 8월(1차), 2010년 7월~2011년 6월(2차), 2017년 11월~2018년 11월(3차)에 나타났던 상황을 종합해보면, 과거 금리인상기의 통화정책 변화와 파급 경로 및 영향을 분석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우선 금리 경로로는, 기준금리 인상은 주식이나 채권 등 직접금융보다 예금 및 대출금리 등 간접금융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
|
|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사진=한은 제공 |
가계와 중소기업 등의 신용위험이 부각되면서, 정책자금 축소 시 '신용 이벤트 재발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또 자산가격 경로, 신용 경로는 금리상승 부담보다 펀더멘털 개선 영향이 우세하다는 분석이다.
자산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미래수익의 현재가치 감소보다 경기 회복 시 미래수익 증가가 더 커서, 자산가격이 견조했다는 것.
또 유동성 위축, 차주의 상환능력에 대한 우려로 은행 대출태도가 악화되는 것보다 경기회복 시 대출수요 증대 효과가 더 뚜렷했고, 디레버리징도 제한적이었다는 진단이 나온다.
환율 경로를 통해서는 내외 금리차 확대로 해외자본이 유입되고 원화 강세가 나타났으며, 기대 경로에서는 기대 물가는 제한됐으나 공급 측 물가상승 압력을 상쇄시키기에는 역부족이어서, '2%대의 물가 오름세;가 나타났다.
하건형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이번 금리인상 양상은 과거 2차와 3차 인상기 사이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다"며 "금리인상에도 불구, 균형금리 수준을 밑돌아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는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김찬희 신한금투 연구원은 "자본시장을 통한 자금조달은 타격이 미미하나, 금융기관 차입 비중이 높은 '한계기업 및 자영업자 신용리스크 재발 가능성'을 경계할 필요가 있다"면서도 "견조한 경기확장세에, '자산가격 조정과 부채 디레버리징은 제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희원 연구원은 "선진국 대비 선제적 금리인상으로 '원화의 상대적 강세'가 이어질 것"이라며 "물가상승 기대는 억제되나, 공급 측 요인에 따라 내년에도 2% 내외의 물가 오름세가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