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FTA 이후 미국산차 점유율 4.4배 증가하는 등 개방도 높아져
[미디어펜=김태우 기자]한국 수입차시장에서 미국산 자동차의 비중이 높아지며 일본차를 제치고 2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는 한-미 FTA 발효 10년차를 맞아 양국간 자동차 수출입 동향을 분석한 결과, 미국차에 대한 한국의 시장 개방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미국과의 자동차 교역이 확대되는 등 상호 보완적 관계로 발전하고 있다고 밝혔다.

   
▲ 수출을 위해 평택항에 대기중인 자동차/사진=미디어펜


지난해 미국계 자동차 브랜드는 한국 수입차 시장에서 4만600대(비중 15.2%)를 판매하며, 2만1000대(비중 7%)를 판매한 일본계를 제치고 독일계(비중 61.9%)에 이어 2위 차지했다.

일본계 브랜드 판매량은 일본 정부의 화이트리스트 한국 제외 조치에 따른 일제 불매운동 영향으로 2019년과 2020년 2년 연속 감소했다.

반면, 미국계 브랜드 판매량은 한-미 FTA에 따른 승용차 관세 철폐(2016년) 영향 등으로 가격경쟁력이 향상되며 2017년부터 4년 연속 증가했다.

2020년 미국의 자동차 전체 수출대수 236만7000대 중 한국 수출은 6만7000대(비중 2.8%)로 한국은 미국의 자동차 수출국 9위의 중요 시장으로 부상했다.

한-미FTA가 발효되기 직전 연도인 2011년의 경우, 한국은 미국의 자동차 수출대상국 중 12위, 일본은 13위로 유사했지만, 2020년에는 한국이 9위, 일본 22위로 격차가 확대됐다.

최근 10년, 한일 양국 자동차시장에서의 미국산차 점유율을 비교해 본 결과, 한국 시장에서는 (2011)0.8%→(2020)3.5%로 4.4배 증가하며 미국산차에 대한 시장 개방도가 높아진 반면, 일본 시장에서는 (2011)0.3%→(2020)0.4%로 10년 전과 거의 변화가 없었다.

한편, 현대차·기아와 한국지엠은 한-미 양국에서 연구개발과 생산시설 투자 확대 등으로 교역확대와 양국의 경제발전과 협력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계 브랜드(현대차·기아)의 2020년 미국시장 점유율은 8.5%로 역대 기록인 2011년 8.9%에 근접했고, 올해 1~5월에는 9.4%를 기록했다.

현대차그룹은 올해부터 5년간 미국에 전기차 현지 생산과 생산 설비 확충 등을 위해 74억달러(한화 약 8조원)를 투자할 예정이다.

한국지엠의 대미 수출도 2011년 1만8000대에서 220년 23만3000대로 최근 10년 13배 확대됐으며 32.9%의 높은 연평균증가율을 기록했다.

한국산차 대미 수출대수가 2011년 58만8000대에서 2020년 82만5000대로 23만7000대 증가한 주요 배경으로 한국지엠의 대미 수출 증가가 꼽힌다.

제너럴모터스(GM)의 2020년 미국시장 소형SUV 판매대수(22만7000대) 중 80.4%가 한국지엠 생산분(18만2000대)으로 한국지엠(소형차급)과 미국GM간 연구개발 및 생산 차종을 상호 보완적으로 구성해 일본계 브랜드 등과 경쟁 중이다.

정만기 KAMA 회장은 "과거 미국은 한국 자동차시장이 일본시장과 마찬가지로 폐쇄적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미국무역대표부(USTR)가 국별 무역장벽 보고서를 통해 한국내 미국차 판매 증가에 대해 긍정 평가하는 등 인식이 대폭 개선되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이어 "이런 인식개선을 토대로 양국은 자동차뿐만 아니라 반도체, 배터리, AI 등 미래차관련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개발과 교차 투자확대 등 협력을 더욱 강화해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미디어펜=김태우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