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매체들 "한국은 1시간 원하나 15분 의례적인 대화만"
[미디어펜=김소정 기자]도쿄올림픽 계기 한일 정상회담 개최 협의 내용이 일본정부의 일방적인 언론 유출로 공개된 것에 대해 외교부가 11일 강한 유감을 표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최근 양국은 외교 채널을 통해 도쿄올림픽을 양국간 현안 해결의 계기로 활용하는 방안을 긴밀히 협의해 왔다"며 "특히 현안 해결의 모멘텀이 마련되고 적절한 격식이 갖춰진다는 전제 하에 한일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도 검토한 것은 사실"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러나 양국 외교당국간 협의 내용이 최근 일본정부 당국자 등을 인용해 일본의 입장과 시각에서 일방적으로 언론에 유출되고 있는데 대해 강한 유감을 표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당국자는 "이런 상황에서는 양 정부간 협의가 지속되기 어려우며, 일본측이 신중히 대응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 외교부./사진=연합뉴스

이날 일본 매체들은 "한국정부가 한일 정상회담 개최를 일본측에 요구했다"고 보도하면서 "문 대통령이 한국에서 '한일관계를 국교정상화 이후 최악으로 몰아넣었다'는 비판을 받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닛케이는 "문 대통령이 한국에서 '한일관계를 국교정상화 이후 최악으로 몰아넣었다'는 비판을 받고 있으며, 이런 여론을 바탕으로 일본 측에 정상회담을 제의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이어 "그러나 한국 측에 강제징용 배상판결, 위안부 소송 등의 해결책을 요구하고 있는 일본은 한국정부가 구체적인 방안을 보여줄 전망이 없을 경우 단시간에 회담을 마칠 계획"이라고 전했다.

교도통신은 회담 시간과 관련해 올림픽에 온 각국 주요 인사와 만나야 하는 스가 총리의 일정을 감안할 때 "1인당 원칙적으로 15분 정도가 될 것"이라고 일본 총리관저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또 "한국은 1시간 정도의 회담을 원하고 있으나 일본정부는 의례적인 대화로 회담을 마치는 시나리오를 전제하고 있다"며 "역사 문제를 둘러싼 일본의 원론적 입장을 전달할 가능성이 있지만 뭔가를 협의하거나 교섭하는 자리는 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본 외무성 간부는 이 통신에 "올림픽 개막식에 출석하는 각국 정상의 한 명으로 보고 조용하게 대응할 뿐"이라며 "역사 문제에서 양보하면서까지 문 대통령이 오면 좋겠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