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보험, 장애인연금보험 등 판매실적은 부진

[미디어펜=정단비 기자] 정부의 입김에 따라 우후죽순 생겨났던 정책보험 상품들의 실적이 저조한 성과를 내고 있는 가운데 현실을 제대로 고려하지 않은채 전시 효과만 노리고 무리하게 추진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 자전거보험 등 정부 추진으로 만들어진 정책성보험상품들이 저조한 실적을 나타내고 있는 가운데 전시행정에서 빚엊진 결과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뉴시스
9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삼성화재, 현대해상, LIG손해보험, 메리츼화재, 동부화재 등 5개사에서 판매한 자전거보험 연도별 판매건수는 2009년 1만6128건에서 2010년 1만7693건으로 잠시 올랐지만 2011년 7561건, 2012년 6456건, 2013년 5446건으로 반 토막 났다.
 
특히 지난해는 판매건수가 2884건을 기록했으며 일부 회사에서는 부진한 실적으로 판매를 중단한 곳도 있다.
 
자전거보험은 자전거 이용 중 발생하는 본인의 상해, 사망, 후유장애 등을 보장하는 상품으로 출시 당시 정부의 녹색성장정책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상품이었다.
 
업계는 자전거에만 한정된 상품인데다가 굳이 자전거보험을 들지 않아도 상해보험으로 보장이 되기 때문에 고객들의 니즈가 부족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정말 자전거 타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아니면 가입할 필요성을 못 느낄 수밖에 없다"며 "지금은 주로 지방자치단체에서 전시적인 의미에서 가입하는 경우가 대다수"라고 전했다.
 
자전거보험 뿐만 아니라 노후실손의료보험과 장애인연금보험 등의 경우도 정부의 정책 흐름에 따라 탄생한 상품들이지만 실적이 미비한 것은 마찬가지다.
 
실제로 노후실손의료보험은 판매를 시작한 지난해 8월부터 12월말까지 삼성화재, 현대해상, LIG손보, 메리츠화재, 동부화재 등 5개사의 판매실적은 7184건 가량이었다.
 
장애인연금보험도 지난해 5월 선보인 이후 12월말까지 NH농협생명, KDB생명 등 2개사의 판매실적은 약 1400건 정도에 불과했다.
 
다른 보험업계 관계자는 "상품 이름만 곱씹어 보면 당시 정부의 중점추진 전략을 알 수 있을 정도"라며 "사회적 소외계층들을 위해 건강보험 등 정부에서 제도적으로 지원이 필요한 부분들인데도 민간보험사에게 넘기는 것 같다"고 말했다.
 
반면 정부는 적은 수요라도 있을 경우 선택권을 넓히는 차원에서 이와 같은 상품들도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보험사에서는 수익성 상품 위주로 상품을 출시해 취약계층들을 위한 상품들은 적극적으로 출시하지 않는 경향이 있는데 사각지대에 있는 경우도 공보험 외에 부차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며 "단 한명이라도 시장의 수요가 있다면 정부에서 모른척할 수는 없는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