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지난해 부동산과 주식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가구당 순자산(금융자산+비금융자산)이 11% 가까이 늘어, 지난 2019년의 프랑스와 일본보다 많았다.
전체 순자산, 이른바 국부(國富) 가운데 약 75%가 부동산(주택+토지)으로, 1년새 비중이 1%포인트(p) 이상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과 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 '2020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우리나라 가구당 순자산은 5억 1220만원으로 추정됐다.
2019년말(4억 6297만원)보다 10.6% 많은 규모로, 역대 최고 증가율로 추정된다.
국민대차대조표 통계에서는 가계 부문을 따로 추계하지 않기 때문에, 이 추정액은 '가계 및 비영리단체' 전체 순자산(1경 423조원)을 추계 가구 수로 나눈 값이다.
|
|
|
▲ 통계청이 있는 정부대전청사/사진=연합뉴스 |
시장 환율로 환산하면, 가구당 43만 4000 달러로 2019년 기준의 미국(91만 7000 달러), 호주(80만 3000 달러), 캐나다(55만 4000 달러), 프랑스(46만 8000 달러), 일본(47만 6000 달러)보다 적었다.
하지만 구매력평가(PPP) 환율 기준(59만 4000 달러)에서는 2019년의 미국(91만 7000 달러), 호주(78만 4000 달러), 캐나다(60만 6000 달러)를 밑돌지만, 프랑스(57만 2000 달러)나 일본(50만 달러)보다 많았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산은 전년보다 11.9%(1110조원) 늘어, 증가율이 2019년(6.8%)보다 높을 뿐 아니라 역대 최고의 수준이다.
자산 종류별로는 1년 전보다 주택이 616조 1000억원, 지분증권 및 투자펀드가 264조원, 현금·예금이 185조 5000억원 불었는데, 2019년(+324조 6000억원, +47조 5000억원, +128조 2000억원)과 비교해 증가 폭이 커졌다.
순자산의 구성 비중을 보면, 작년 말 현재 ▲ 주택 5344조원(42.8%) ▲ 주택 이외 부동산 2419조 6000억원(19.4%) ▲ 현금·예금 1968조 4000억원(15.8%) ▲ 지분증권·투자펀드 986조 2000억원(7.9%) 순이었다.
가계총처분가능소득(가계가 소비·저축 등으로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소득) 대비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산과 부동산자산의 배율은 각 9.6배, 7.2배로 집계돼, 2019년의 8.8배와 6.7배를 크게 웃돌았고, 두 통계 모두 사상 최고 수준이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에 금융·비금융법인, 일반정부의 순자산을 모두 더한 '국민순자산'은 작년 말 현재 1경 7722조 2000억원에 이르렀다.
1년 전(2019년 말)보다 6.6%(1093조 9000억원) 늘어 다시 역대 최대 기록을 세웠는데, 국부는 통상적으로 해마다 계속 늘어난다는 게 통계청의 설명이다.
국민순자산 규모는 명목 국내총생산(1933조 2000억원)의 9.2배로, 배수가 전년(8.6배)보다 상승했다.
국민순자산의 증감 요인을 보면, 금융자산 순취득액이 2019년 973조 4000억원에서 2020년 1448조 8000억원으로 늘었고, 자산가격 상승 등에 따라 금융자산과 비금융자산의 '거래 외 증감' 부분도 각 490조 1000억원, 972조 5000억원 증가했다.
주식 등 금융자산도 많이 사들였고, 집값이나 주식 가격 등이 오르면서 거래 없이 자산 가치도 불었다는 의미다.
부동산(토지+건물)은 전체 국민순자산에서 74.8%를 차지, 1년 전(73.4%)보다 비중이 1.4%포인트(p) 늘었고, 국민순자산 중 비금융자산 내 부동산 비중도 1년 새 76.1%에서 77.0%로 늘었다.
토지 자산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배율은 5.0배로, 전년(4.6배)보다 상승했다.
지난해 GDP(명목 기준)는 0.4% 늘어나는데 그쳤지만, 토지 자산은 10.5% 증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금융법인 외 부문(비금융법인·가계 및 비영리단체·일반정부)의 금융자산과 금융부채는 각 12.6%, 14.8% 늘어났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