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위구르 문제 들어 5개 중국 태양광 기업 규제…호주, 중국과 외교·무역 분쟁
발전소 유지·보수 등 다운스트림 집중 필요…신산업 진입 및 폐모듈 활용 전략 촉구
[미디어펜=나광호 기자]글로벌 태양광 시장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가운데 한국 기업들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다운스트림 분야 공략과 신산업 선점 및 폐모듈 활용 등 다각적인 노력을 전개하고 국제지형도 이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2009년 MWh당 359달러였던 태양광 균등화발전비용(LCOE)은 2019년 40달러 수준까지 개선됐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석탄화력발전 보다 가격경쟁력이 높아지는 등 일명 '그리드패리티'가 발생했다.

이를 토대로 태양광 신규 설비 규모는 지난해 107GW에서 올해 117GW까지 늘어날 전망으로, 2020~2030년 글로벌 재생에너지 신규 설비계획에서도 전체 목표 721GW 중 460GW(63.8%)를 차지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태양광 패널/사진=한화큐셀


이 중 한국기업들은 미국·호주·유럽 등 선진시장과 인도 및 베트남을 비롯한 신흥시장에서 점유율 확보에 나서고 있다. 특히 미국의 경우 한화큐셀이 주거용·상업용 시장에서 20% 이상을 차지하면서 점유율 1위를 수성하는 중으로, LG전자도 10% 안팎의 비중을 유지하는 등 한국산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JA솔라·진코솔라를 비롯한 중국계 업체들이 국내 업체들을 뒤쫓고 있지만, 최근 미국이 5개 중국업체를 대상으로 수출규제를 실시하는 등 한국업체들에게 유리한 지형이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강제노동으로 폴리실리콘을 생산하지 않았다는 것을 입증해야 통관을 허용한다는 규정으로, 지난 7월 상원이 '중국 신장 자치구 제품 전면 수입금지'를 만장일치로 통과시키기도 했다.

호주 역시 태양전지 및 모듈 수입의 86%를 중국에 의존했으나, 남중국해 문제 등으로 중국과 외교·무역 분쟁을 빚고 있어 중국산 제품의 진입이 어려워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한국산 제품의 비중은 2017년 4.3%에서 지난해 6.8%로 상승했으며, 한화큐셀이 브랜드 평판 조사에서 6년 연속 모듈 '탑 브랜드'로 선정되는 등 가정용 태양광 제품을 중심으로 지배력을 끌어올리고 있다. 호주에서 가정용 태양광은 전체 설비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이와 관련해 한국무역협회는 '글로벌 태양광 시장 동향 및 우리기업의 진출전략' 보고서를 통해 글로벌 가정용 태양광 시장 공략을 가속화하기 위해서는 '탠점 전지' 등 결정질 실리콘을 대체할 수 있는 고효율 제품을 개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외국기업의 기술력이 빠르게 늘고 있기 때문이다.

   
▲ 글로벌 태양광시장 진출전략/사진=한국무역협회


에스에너지가 ICT 기반으로 24시간 모니터링 및 발전량 분석이 가능한 '지니어스' 개발을 토대로 미국에서 78MW급 태양광발전소 운영관리(O&M) 사업을 수주하는 등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재생에너지는 안정적 전력생산이 쉽지 않다는 점에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GS건설·신성이엔지·CJ대한통운 등이 인도와 베트남을 비롯한 아시아 지역에서 사업을 벌이고 있지만, 이들 지역은 스마트그리드업체와 '팀코리아'를 구성해 진출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는 전력망이 부족해 송전망 용량이 태양광 발전량에도 미치지 못하기 때문으로,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시스템(BIPV) 등 기술력을 요구하는 플랫폼을 앞세우는 것도 공략법으로 언급되고 있다.

다만 업계는 이들 지역내 태양광 설비가 늘어나는 등 유망한 시장으로 불리는 것은 맞으나, 전기료 지급을 비롯한 시스템적인 부분이 미흡하다는 점에서 현지 수요 및 실정을 면밀하게 관찰해야 한다는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모빌리티·드론을 비롯해 태양광을 응용한 신산업 생태계에 참여하고, 모듈을 구성하는 소재를 회수해 재판매하는 등 경제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면서 "가상발전소(VPP) 분야로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브랜드 인지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작업도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미디어펜=나광호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