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펜=구태경 기자] ‘4차 산업혁명 도시’를 자칭한 대전시가 전국에서 혁신성장역량의 압도적 우위를 나타내면서, 그간 스타트업 육성 등 4차 산업혁명에 집중한 시정이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정부가 경제 성장동력 저하와 고용창출력 약화 등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혁신성장정책을 주요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지역별 혁신성장역량을 평가한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
|
|
▲ 허태정 대전시장(사진 오른쪽)이 조용병 신한금융 회장(사진 가운데)과 박범계 법무부 장관(당시 국회의원)과 함께,지난 2019년 12월 20일, 대전시 스타트업 발굴 및 육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사진=미디어펜 구태경 기자 |
8일 산업연구원(KIET)이 발표한 ‘지역별 혁신성장역량의 공간분포와 정책대응 기본방향’보고서에 따르면, 혁신성장역량은 대전이 다른 지역에 비해 압도적 우위를 보이면서 전국 1위를 나타냈다.
이어 서울, 경기, 인천이 2~4위의 최상위권으로 분류돼, 대전 및 수도권 지역으로의 '쏠림'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대전과 서울은 종합순위와 마찬가지로 혁신성장역량을 구성하는 혁신기반역량 및 미래산업기반역량의 2대 요인 모두에서 최고 수준인 1~2위를 유지, 17개 광역시도 중 가장 이상적인 발전 패턴을 보였다.
반면, 최하위권인 14~17위에는 경북, 강원, 전남, 제주 등이 포함됐으며, 이중 경북, 강원, 전남의 경우는 고령화 심화 및 경제 취약지역으로 혁신성장 실현을 위한 기반이 미약한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됐다.
또한 제주의 경우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관광산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가진 지역으로, 연구개발(R&D) 및 제조업 신산업의 기반이 아직 구축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
|
|
▲ 지역별 혁신성장역량 지수 현황./그래프=산업연구원 |
이번 발표와 관련해 시 관계자는 “대전시는 그동안 대덕특구를 비롯한 연구기관과 지역 내 대학들과 연계하는 등, 4차 산업혁명과 R&D에 시정 역량을 집중했다”면서 “이번 조사 결과는 이 같은 노력과, 타 시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젊은 도시라는 장점이 시너지 효과를 낸 것으로 생각된다”고 의견을 내놨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인공지능(AI), 증강.가상현실(AR.VR) 등, 4차 산업혁명 기술과 연관된 스타트업 발굴 육성에 더욱 힘쓸 것”이라고 전했다.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대전시는 인구의 30.2%가 청년층으로 특·광역시 중 세 번째로 젊은 도시며, 대학만 19개가 위치해 매년 3만 5000여 명의 졸업생이 배출되고 있다.
또한 보고서에는 혁신성장 역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곳은 지역경제를 견인하는 연구개발, 지역산업 구조고도화, 고부가가치기업 입지, 경제성장률 등의 경제지표와 높은 상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혁신성장 역량의 지역 간 양극화 현상이 심화는, 향후 지역 간 경제격차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도 지적했다.
산업연구원은 이에 대한 대책으로 ▲혁신성장을 통한 지역경제성장 선순환구조 전략 수립 ▲기술사업화 촉진을 통한 창업활성화 및 신산업 역량 확충 ▲고도화 및 다각화 중심의 신산업 육성전략 실현을 위한 혁신성장 생태계 조성 등을 주문했다.
허문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혁신성장 역량의 지역 간 양극화를 완화하는 것이 향후 국가균형발전 실현을 위한 핵심 이슈”라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산업구조 고도화와 양질의 일자리 창출 기반의 지역경제 선순환구조가 정착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연구개발과 창업활동·신산업 부문 간 단절현상을 극복하는 기술사업화 촉진에 정부 정책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
|
|
▲ 허태정 대전시장이 국비확보 위해 국회를 방문해 박병석 국회의장에게 예산안 반영요구를 하고 있다./사진=대전시 |
한편 9일 허태정 대전시장은 국회를 방문하고, '충청권 메가시티' 조성 및 지역 혁신성장 사업 추진에 필요한 내년도 국비 확보를 위해, 박병석 국회의장에게 정부 예산안에 대전시 예산 반영을 요청했다.
[미디어펜=구태경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