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전국민지원금 기저효과…경기 개선에 근로소득은 증가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올해 2분기 경기 개선으로 근로·사업소득이 늘었는데도, 가계 총소득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2분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전국민 재난지원금을 지급한 기저효과의 영향이다.

19일 통계청이 발표한 '2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전국 1인 이상 가구 월평균 소득은 428만 7000원으로 1년 전보다 0.7% 줄었다.

가계 소득 감소는 지난 2017년 2분기(-0.5%) 이후 4년 만에 처음으로, 감소폭은 2016년 4분기(-0.9%) 이후 최대였다.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고용 호조와 자영업 업황 개선으로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동시 증가했지만, 지난해 5월 코로나19 피해에 대한 전국민 재난지원금 지급에 큰 폭으로 증가했던 사회수혜금이 이번 분기에는 감소하면서, 총소득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 여성 구직자/사진=미디어펜


금년 2분기 가계소득을 유형별로 보면, 근로소득(274만 3000원)은 1년 전보다 6.5% 늘어, 2012년 3분기(6.9%) 이후 최고 증가율을 기록했다.

사업소득(80만 6000원)은 3.6% 증가해, 2018년 1분기(3.7%) 이후 최대 폭 늘었다.

반면 이전소득(61만 7000원)은 28.6% 감소, 통계 집계를 시작한 2006년 1분기 이후 가장 많이 줄었는데, 정부가 주는 재난지원금 등 공적이전소득(42만 1000원)이 37.1% 감소한 영향이다.

근로·사업·이전·재산소득을 포괄하는 경상소득(420만 8000원)은 0.9% 감소했고, 경조소득이나 실비보험금 등 비(非)경상소득(7만 9000원)도 11.1% 줄었다.

경기 개선으로 소비가 증가, 가계 지출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47만 5000원으로 1년 전보다 3.8% 늘었는데, 이는 2012년 1분기(4.5%) 이후 최고 증가율이다.

1분기에는 마이너스(-)였던 음식·숙박과 오락·문화 지출은 각각 3.3%, 4.1% 증가로 돌아섰으며, 보건(10.6%) 지출도 플러스(+)로 전환됐고, 교육(31.1%)과 주거·수도·광열(7.8%), 식료품·비주류음료(2.0%), 주류·담배(1.6%), 통신(1.5%) 지출도 늘었다.

그러나 가정용품·가사서비스(-7.0%), 의류·신발(-4.2%), 교통(-0.4%) 지출은 줄었다.

세금과 사회보험료, 경조사비, 헌금 등 비소비지출은 83만 3000원으로 4.6% 증가했고, 소득세·재산세 등 정기적으로 내는 세금인 경상조세(14.3%), 사회보험료(9.1%), 가구간이전지출(5.7%)도 늘었다. 

반면 상속·증여세와 양도소득세 등 비경상조세(-26.9%), 이자비용(-2.7%), 비영리단체로의 이전지출(-6.0%)은 감소로 조사됐다.

총소득은 감소했지만 비소비지출이 증가하면서, 2분기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값)은 345만 4000원으로 1년 전보다 1.9% 줄었다.

가계 흑자액(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뺀 값)은 97만 9000원으로 13.7% 줄었는데, 2006년 1분기 통계 집계 이후 최대 폭의 감소다.

흑자율(처분가능소득 대비 흑자액 비율) 역시 28.3%로 3.9%포인트 하락했으며,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평균소비성향은 71.7%로 3.9%포인트 상승했는데, 가계가 100만원을 벌면 71만 7000원을 쓴다는 의미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