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타 변이 확산으로 코로나19 상황 악화...테이퍼링 시기도 지연 가능성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올해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에 나서기 위한 논의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가운데, 그 시기를 가늠할 변수는 미국 고용시장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 영향이다.

물가수준이 이미 연준의 목표치(2% 이상 유지)를 도달한 상황에서, 고용시장은 호조를 지속하고 있으나,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가 급속히 퍼지고, 경기회복세 유지 여부에도 '물음표'가 나온다.

19일(현지시간) 발표된 미국의 경제지표는 약간의 온도차를 보였다.

실업보험 청구건수는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유행)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하면서, 고용시장 회복 가능성을 내비쳤다.

   
▲ 미국 연방준비제도 건물/사진=연합뉴스

미 노동부는 지난 14일로 끝난 한 주간 실업보험청구자수가 계절 조정 기준으로 전주보다 2만 9000명 감소, 34만 8000명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작년 3월 이후 가장 적은 것이며,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 36만 5000명도 밑돌았다.

반면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연은) 관할 지역의 제조업 활동을 나타내는 필라델피아 연은 지수는 4개월 연속 하락, 전월 21.9에서 19.4로 낮아졌다.

월스트리트저널 전문가 전망치인 22도 하회했다.

특히 최근 나온 미국의 7월 소매판매는 전월대비 1.1% 감소하며, 예상치 -0.3%를 큰 폭 미달, '경기둔화 우려'가 고개를 들었다.

전문가들은 7월 소매판매 감소는 6월말 아마존의 '프라임데이' 효과의 소멸에 기인한 것이며, 소매판매 비중이 미국 전체 소비의 3분의 1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이를 경기둔화로 해석하는 것은 과도하다는 게 중론이다.

소매판매 부진에도 불구, 서비스 매출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어, 상품 지출에서 서비스 소비로의 전환되는 과정일 뿐이며, 총 수요 회복세는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

하지만 문제는 '델터 변이'에 따른 미국 내 코로나19 재확산이다.

델타 변이는 7월을 지나면서 급격히 증가,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추정 데이터에 따르면 델타 변이는 미국 내 신규 감염의 98.8%를 차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워싱턴포스트는 19일 전했다.

이날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전일 코로나19 확진자수는 14만 893명으로 2주 전보다 47% 증가했고, 일일 평균 사망자수는 809명으로 2주 전보다 97% 급증했다.

김중원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7월말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후 델타 변이 확산으로 미국 코로나19 상황이 크게 악화됐고, 더불어 고용시장 개선이 지연될 수 있다는 점에서, 테이퍼링 시점도 늦어질 수 있다고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그는 또 "델타 변이로 8월 들어 소비심리를 비롯한 경제지표가 혼조세를 보이며, 경기회복 속도 둔화 우려가 불거지는 것도, 연준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 연준은 8월 FOMC 의사록을 통해 "대부분의 의원들은 경제가 예상대로 광범위하게 개선된다면, 올해 테이퍼링을 시행하는 것이 적절하다라고 언급했다"면서, 연내 단행 가능성을 시사했다.

시장 참가자들은 연준이 오는 26일부터 열리는 '잭슨홀 미팅.', 또는 9월 FOMC 회의에서 테이퍼링에 대한 추가 시그널을 내놓을 것으로 보고 있다.

골드만삭스와 뱅크오브아메리카는 "11월에 테이퍼링을 시작할 가능성이 가장 높아 보인다"고 예상했지만, 델타 변이의 확산 영향이 최대 걸림돌이 될 전망이다.

[미디어펜=윤광원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