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군 수송기 타고 26일 오후 도착…13명도 휴식 취한 뒤 한국 들어올 듯
코로나 검사 뒤 음성이면 진천 인재개발원서 2주 격리…장기체류 자격 부여
[미디어펜=김소정 기자]아프가니스탄 정부 재건 과정에서 한국을 도왔던 아프간인 협력자와 그 가족 378명이 우리군 수송기를 타고 26일 오후 한국에 입국했다. 

이들을 태운 다목적 공중급유 수송기 KC-330은 26일 오후 4시24분 인천공항에 도착했다. 우리시간으로 이날 새벽 4시53분 파키스탄 이슬라마바드 공항을 출발해 약 11시간을 비행했다.

   
▲ 25일 아프가니스탄 카불공항에서 한국으로 이송될 아프간인들이 수송기에 탑승하고 있다. 2021.8.25./사진=외교부

정부가 분쟁 지역의 외국인을 대규모로 국내 이송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들은 지난 수년간 주 아프간 한국대사관, KOICA(한국국제협력단), 바그람 한국병원, 바그람 한국직업훈련원, 차리카 한국지방재건팀 등에서 의사와 간호사, 정보기술(IT) 전문가, 통역, 강사 등으로 일한 전문인력과 그들의 가족이다. 또한 이들 중에는 5세 이하 영유아가 100여명이며, 태어난 지 한 달도 되지 않은 신생아도 3명 포함돼 있다.

이들은 공항 내 별도 장소에서 코로나19 PCR검사 등 방역 절차를 거친 뒤 공항 근처 임시시설에 대기하다가 음성이 확인되는 대로 충북 진천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으로 이송될 예정이다. 앞으로 14일간 격리생활을 하면서 정착 교육을 받다가 6~8주 뒤 정부가 마련한 시설로 옮겨질 예정이다.

   
▲ 25일 아프가니스탄 카불공항에서 한국외교관이 한국행 아프간인들을 찾고 있다. 2021.08.25./사진=외교부

법무부는 아프간 조력자들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단기방문(C-3) 도착비자 발급하고 장기체류가 허용되는 체류자격(F-1)을 부여했다. 인재개발원에서 임시생활 단계를 마치면 취업이 자유로운 거주(F-2) 비자가 발급된다.

앞서 정부는 아프가니스탄에서 탈레반의 공세가 거세진 8월 초부터 민간항공기를 이용해 한국을 도운 아프간인들의 국내 이송을 준비했지만, 상황이 급박해지자 지난 23일 한국군 수송기 3대를 현지에 보냈다.

   
▲ 25일 아프가니스탄 카불공항에서 한국 외교관과 한국대사관 방호팀 경찰이 한국행 아프간인들을 찾고 있다. 2021.8.26./사진=외교부

이들의 안전한 탈출을 지원하기 위해 카타르로 철수했던 주 아프간대사관 직원 4명이 22일 카불 공항으로 다시 돌아가 이들의 집결과 카불공항 진입을 준비했다. 23일 중간 기착지인 파키스탄 이슬라마바드에 도착한 우리군 수송기는 이튿날부터 카불과 이슬라마바드를 왕복하면서 아프간인들을 이송했다. 

한편, 당초 한국 이송 절차를 밟았던 아프간인은 391명이었지만 이 가운데 13명이 빠진 378명이 최종 입국했다. 이들은 현재 이슬라마바드 공항에 남아있으며, 다른 한국군 수송기를 타고 조만간 들어올 것으로 전해졌다.
[미디어펜=김소정 기자] ▶다른기사보기